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별시도 교수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이모티콘 변별과 활용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773

영문명
The Effects of Discrimination and Utilization Ability of Emoticon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rough Discrete Trial Teaching
발행기관
한국자폐학회
저자명
정수진(Jung, Su Jin) 이성봉(Lee, Sung Bong)
간행물 정보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6권 제3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개별시도 교수(Discrete Trial Training: DTT)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 SNS에서 자신의 감정과 사건을 전달하는 도구인 이모티콘을 변별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의 중증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3명이다. 연구방법으로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연구자가 아동과 1:1로 개별시도 교수를 매개로 이모티콘의 상황과 같은 읽기 카드 변별하기, 이모티콘과 읽기 카드 매칭하기, 제시어를 듣고 이모티콘을 변별하기를 지도하였다. 중재를 마치고 일반화를 위해 스마트 폰을 사용해 이모티콘 변별하기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시도 교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이모티콘 변별 능력을 증가시켰다. 둘째, 개별시도 교수는 자폐스펙트럼 아동의 이모티콘 활용 능력의 일반화와 유지에도 효과가 있었다. 스마트폰을 사용한 일반화 단계에서 학습하지 않은 다양한 상황이나 감정을 묻는 질문에 대상 아동들이 적절히 반응하는 반응 일반화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 연구와 관련하여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urposes t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to discriminate and apply Emoticons as tools to communicate their own feelings and events in “social media” through Discrete Trial Teaching(DTT). The subjects consisted of three sixth-graders with ASD, an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employed. In the phase of intervention, discrimination and matching of reading cards identified with Emoticon situations, and discrimination of Emoticons with Discriminative stimulus (SD) were taught in a DTT mode. In the phase of generalization, children were told to sort out Emoticons by utilizing actual smart phon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screte trial teaching was proved to improve the capabilities to discriminate Emoticons. Second, DTT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discrimination skills acquired during intervention phases. Especially, children proved to carry out generalized responses to inquiries on various situations and Emoticons that were not even learned or experienced yet during generalization phase when they were told to utilize real smart phones. Sever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offered in the final sect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of the study.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문제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설계 및 절차
4.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5. 관찰자간 신뢰도
6. 중재 충실도
7. 사회적 타당도
Ⅲ. 연구 결과
1. 이모티콘 변별 능력
2. 이모티콘 활용 능력의 일반화 및 유지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수진(Jung, Su Jin),이성봉(Lee, Sung Bong). (2016).개별시도 교수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이모티콘 변별과 활용 능력에 미치는 효과.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6 (3), 1-19

MLA

정수진(Jung, Su Jin),이성봉(Lee, Sung Bong). "개별시도 교수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이모티콘 변별과 활용 능력에 미치는 효과."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6.3(2016):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