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명·청 시대 북경성과 북경 고지도

이용수 761

영문명
Beijing castle and Beijing Old Map of Ming and Qing Dynasty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저자명
이명희(Lee Myung hee)
간행물 정보
『기전문화연구』제38권 제1호, 99~11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내용 요약: 70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북경은 선진시대부터 동북지역의 중요 군사도시이자 정치 중심지였다. 북경이 동북 지역의 중심지에서 전국의 정치중심지로 부상하기 시작한 것은 요나라부터인데 금은 지금의 북경을 “중도”로 격상시키며 명실상부한 중국 대륙 제 1의 정치중심지가 되었다. 그 후 명의 주원장이 남경에 수도를 정하고 영락제가 다시 북경으로 수도를 옮기기까지의 단시간을 제외하고 북경은 현재까지 수도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의 북경은 명의 영락제가 건설한 북경성에 기초하고 있다. 그 후 가정 연간에 남성이 건설되면서 우리가 아는 북경성의 모습이 완성되었다. 북경성은 궁성, 황성, 외성의 3중성 구조로 황제의 공간과 중앙 정부의 공무 공간, 일반 백성이 생활하는 공간 등이 잘 계획된 대도시였다. 명대 만들어진 지도는 이런 북경성의 모습을 간략하게 잘 기록하고 있으며 시대에 따른 북경성의 변화모습도 잘 알 수 있게 한다. 청대의 북경성의 외형과 내부 공간구조는 명대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일부 지물의 명칭과 건축물의 용도 변경, 필요한 경우 증개축 등이 있었을 뿐이었다. 만주족이 건설한 청은 명의 북경성을 거의 훼손하지 않고 황궁을 포함해 거의 그대로 사용하는 실용성과 이전 왕조의 수도와 황궁을 그대로 사용해도 자신들의 위엄에 흠이 되지 않는다는 자신감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지도의 경우 청대에 들어 많은 변화가 있었다. 우선 종류와 수량이 명대에 비해 비약적으로 증가했다. 청 초기부터 그려진 북경의 지도는 청의 독특한 제도인 “팔기제(八旗制)”에 의해 북경을 운영하던 모습이 남아있는 9폭으로 구성된 「팔기방위총도(八旗方位總圖)」를 비롯하여 매우 정밀한 측량작업에 의해 제작된 대축척 지도인 건륭의 『경성전도(京城全圖)』, 청 후기 민간에서 널리 제작되어 현재 세계 여러 나라에도 소장되어 있고 우리나라에도 두 종류가 있는 『수선전도(首善全圖)』등이 대표적이다. 다양한 청대의 북경 지도들은 700여 년의 역사적 전통을 가진 도시 북경의 변화 과정과 도시의 내부 구조와 공간을 직관적으로 보고 연구할 수 있는 좋은 역사 자료이다.

영문 초록

Beijing, with 700 years’ history, has been a major military city as well as political center of the northeast area since the advanced era. Beijing began to emerge as the national political center from the center of northeast region since Liao Dynasty, however Beijing is currently the no.1 political center of China continent worthy of its name, since Beijing was raised as “中都” during Jin Dynasty. Later, except a short period when Zhuyuanzhang of Ming determined Nanjing as the capital and yongle again relocated it to Beijing, Beijing had maintained the position of capital. Current Beijing is based on Beijing castle, built by Yongle of Ming Dynasty. Later, as 南城 was built in Jiajing period, current Beijing castle was completed. Beijing castle was a well-planned big city, organized with the emperor’s space, official service space of central government, and general people’s living space, in 3-phase structure, 宮城, 皇城, 外城. The map made in Ming Dynasty well recorded Beijing castle briefly, which well expresses the change of Beijing castlel according to period. There’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external and internal space structure of Beijing in Qing Dynasty from that of Ming Dynasty. There were only change of the name of some facilities and building use, building extension and reconstruction, when necessary. Qing established by Manchu people did not damage Beijing castle, and showed practicality by using almost everything of Beijing castle including 皇宮 as well as pride that their dignity is not damaged even when they used the capital and 皇宮 of the previous dynasty. Nevertheless, the map had lots of change in Qing Dynasty. Above all, the type and number rapidly increased compared to Ming Dynasty. The map of Beijing, which had been drawn since early Qing Dynasty, was composed of 9 pictures, 「Pa八旗方位總圖」, where the management of Beijing by “八旗”, a unique system of Qing Dynasty, as well as Geon Ryung’s 『京城全圖』, a large scale map produced based on very precise measurement work, and 『首善全圖』, which was widely produced in private circles during late Qing Dynasty and currently owned by several countries, also remaining two types in Korea, are representative. Various Beijing maps of Qing Dynasty are good historical materials for history research, which display the change process of Beijing, a 700 years’ historical city, and the internal structure and space of the city.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명·청 시대 북경성의 형성 과정과 구조
3. 명대 북경성 지도
4. 청대 북경성과 북경 지도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희(Lee Myung hee). (2017).명·청 시대 북경성과 북경 고지도. 기전문화연구, 38 (1), 99-118

MLA

이명희(Lee Myung hee). "명·청 시대 북경성과 북경 고지도." 기전문화연구, 38.1(2017): 99-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