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럽의 상호문화교육 지침서 비교 연구

이용수 871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Three Guidebooks on European Intercultur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장한업(HanUp Jang)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7권 제1호, 199~22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Education Pack, Intercultural Learning, Intercultur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과 같은) 유럽의 상호문화교육 지침서들이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상호문화교육을 실시하는 경우 제안하는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살펴보고 비교하고자 한다. 이 세 지침서를 비교하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지침서들은 차이가 우리 사회들의 현실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비슷한 목표를 내걸고 있다. 이 목표는 상호의존적 세계의 현실 이해하기, 부정적인 편견과 고정관념을 넘어서기, 다른 사회와 문화에서 온 사람들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와 행동을 가지게 하기를 포함한다. 이 지침서들은 상호문화교육을 위해 비슷한 내용을 제안한다. 이 내용은 모두 다른 문화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상호관계를 발견하고 장벽을 허물게 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하지만 이 지침서들은 방법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인다. Education Pack과 Intercultural Learning은 외부로부터 자신을 상상해 보기,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를 이해하기, 다른 현실과 익숙해지기, 차이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기, 긍정적인 태도, 가치, 행동을 가지기라는 몇 가지 단계를 제안하지만,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은 긍정적 학습, 토론, 집단 활동을 강조한다. 평가는 상호문화교육에서 가장 발달되지 못한 영역으로 남아있다. 다행스럽게도 마지막 지침서는 한 장을 평가에 할애함으로써 이 문제를 앞선 두 지침서보다 훨씬 진지하게 다루고 있다. 이제 우리에게 남은 문제는 유럽의 상호문화교육의 원칙과 접근방식을 한국 사회와 학교에 적용시키는 것이다. 우리는 이 논문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and compares how three guidebooks on intercultural education in Europe (Education Pack, Intercultural Learning, and Intercultur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 define their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in order to promote intercultural education to young people and adults. All these three guidebooks start with the underlying fact that difference is the reality of our societies and propose similar objectives. These guidebooks include furthering an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of an interdependent world, going beyond negative prejudice and stereotypes, and generating positive attitudes and habits of behaviors towards people from other societies and cultures. They also suggest similar contents for intercultural education, which all relate to the discovery of mutual relationships and the dismantling of barriers between people from other cultural backgrounds. However, with regard to methods, they show significant contrast: Education Pack and Intercultural Learning propose several stages that consist of imagining ourself from the outside, understanding the world we live in, being acquainted with other realities, seeing difference positively, and favouring positive attitudes, values and behavior, while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insists on positive learning, discussion and group work. Evaluation remains the least developed area in intercultural education; fortunately, the last guidebook treats this problem more seriously than the first two by dedicating a whole chapter to it. What is required of us now is determining how to adapt the principles and approaches of European intercultural education to Korean societies and schools.

목차

요약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세 가지 지침서의 비교 분석
Ⅲ. 종합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한업(HanUp Jang). (2017).유럽의 상호문화교육 지침서 비교 연구. 비교교육연구, 27 (1), 199-222

MLA

장한업(HanUp Jang). "유럽의 상호문화교육 지침서 비교 연구." 비교교육연구, 27.1(2017): 199-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