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조선족 중학생의 자아정체성과 사회정체성의 관계

이용수 551

영문명
Relations between Self-Identity and Social Identity of Korean-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n-Chinese Ethnic Schools and General Chinese School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성춘향(Cheng Chun xiang) 이예화(Li Yi hua) 박용한(Park Yong han)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5권 제1호, 213~23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지리적·정치적으로 복잡다단한 사회적 맥락에 놓여있는 중국 조선족 청소년들의 자아정체성과 사회정체성의 발달 및 그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정체성 발달에서의 양상이 조선족학교와 한족학교라는 학교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연변지역의 4개 중학교(조선족학교 1개교, 한족중학교 3개교)에 다니고 있는 265명의 조선족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정체성과 사회정체성 발달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족학교와 한족학교에 다니는 조선족 중학생들은 자아정체성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사회정체성의 경우 하위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사회정체성 하위변인 중 민족정체성은 조선족학교 학생들이 한족학교 학생들보다 높았고, 이와 반대로 독립정체성과 국민정체성은 한족학교에 다니는 조선족 중학생들이 더 높았다. 둘째, 조선족 중학생들의 사회정체성과 자아정체성간의 관계를 살펴본 분석 결과에서는 조선족학교에 다니는 조선족 중학생들의 경우 사회정체성 중 독립정체성이 높을수록 미래확신성과 자기수용성을 포함하여 더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문화와 세계시민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에게 주류 대 비주류로서의 정체성이 아니라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적 집단의 고유성과 전통을 이어감과 동시에 타 집단 및 타 시대와의 다름을 인정하고 수용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 환경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of self-identity and social identity as well as their relations for Korean-Chinese students living in a complicated cultural, geographical, and political context. In addition, the research examined how those results would be differentia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the students attended: Korean-Chinese ethnic schools and general Chinese school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administered a survey of self-identity and social identity to 265 Korean-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in one Korean-Chinese ethnic school and three general Chinese school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 difference was found in self-identity while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social identity between two types of schools. Specifically, among the sub-components of social identity, ethnic identity was higher for Korean-Chinese students in the Korean-Chinese ethnic school than those in the Chinese schools. Meanwhile, independent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were higher for Korean-Chinese students attending general Chinese schools than those in the ethnic school. Second, only for Korean-Chinese students attending the ethnic school, higher independent identity significantly predicted more positive self-identity especially such as future confidence and self-accept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per education and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for adolescents living in the era of multi-culturalism and global citizenship in order for them to develop not conventional identity as majority or minority but new identity through accepting and appreciating their differences from other groups or generations while keeping the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 of the social group they belong to.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춘향(Cheng Chun xiang),이예화(Li Yi hua),박용한(Park Yong han). (2017).중국 조선족 중학생의 자아정체성과 사회정체성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25 (1), 213-236

MLA

성춘향(Cheng Chun xiang),이예화(Li Yi hua),박용한(Park Yong han). "중국 조선족 중학생의 자아정체성과 사회정체성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25.1(2017): 213-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