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영어이야기 제작 학습에 대한 인식

이용수 371

영문명
The Perceptions of Making Digital English Stories Using a Digital Storytelling Method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정혜옥(Chung Hae ok) 박부남(Park Pu nahm)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5권 제1호, 23~4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방과후학교 영어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영어 이야기 제작 학습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연구하였다. 22명 초등학생은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디지털 영어 동화를 학습하고 이야기의 구조를 분석한 후 학생 자신이 쓴 이야기를 만들어 디지털 영상 제작을 시도 하였다. 연구자들은 12주 동안 6개의 동화를 학생들에게 학습시킨 후 읽은 동화 중 두개의 동화를 이용해 다시 말하기-쓰기-디지털 영상 제작 활동을 하도록 해 그들의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학습에 대한 인식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초등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측정하기 위해 영어성취도 평가를 사전-사후로 나누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학습에 대한 인식은 두개의 다른 디지털 영어이야기 제작을 실시한 후 사전-사후1-사후2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해 연구자들은 수업을 참관하면서 참관일지를 기록하였고, 학생과 교사들을 면담하여 그 내용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언어의 네 기능 중 쓰기가 향상 되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디지털 매체 사용보다는 이야기 제작 학습 내용에 따라 디지털 학습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영어이야기 제작 학습은 초등학생들의 영어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초등학생들에게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된 새로운 인식의 변화를 제시했다는 면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students’ perceptions of making digital English stories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for 22 primary school students.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researchers integrated a digital storytelling learning method into an English story class in which students read six stories and created two digital English stories. Researchers collected multiple data including an English achievement test, students’ videos, classroom observations, student surveys, student interviews and teacher interviews. Researchers investigated students’ impacts on language competence and learning perceptions by analyzing pre- post1- post2 learning attitudes surveys, students’ products and interview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arning of making digital English story was an effective tool to improve students’ language competence especially for their writing skills. By using the digital storytelling method, the students enhanced not only their learning attitudes, but also internalized their digital literacy through making their own English stor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some factors that lead to an effective class using the digital-storytelling method in the digital age. By exploring the learning method, this study suggest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ose who want to develop a digital storytelling language learning approach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n the digal ag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분석
Ⅴ.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영어 이야기 제작 학습의 의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혜옥(Chung Hae ok),박부남(Park Pu nahm). (2017).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영어이야기 제작 학습에 대한 인식. 열린교육연구, 25 (1), 23-45

MLA

정혜옥(Chung Hae ok),박부남(Park Pu nahm).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영어이야기 제작 학습에 대한 인식." 열린교육연구, 25.1(2017): 23-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