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촌지역 특성의 유형화와 그 분화 양상 -1995~2010년 충청남도 읍․면지역 사례-
이용수 61
- 영문명
- Classification of Regional Types and Changing Aspects in Chungcheongnam-do Rural Areas : based on Eup․Myon Level Data over 1995~2010
- 발행기관
- 한국농식품정책학회
- 저자명
- 김정연(Jeong-Youn Kim) 김은순(Uhn-Soon Gim) 한상욱(Sang-Wook Han)
- 간행물 정보
- 『농업경영.정책연구』농업경영·정책연구 43권 3호, 610~632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regional types of Eup-Myon areas in Chungcheongnam-do based on principal characteristics and to clarify the changing aspects of regional types during the last 15 years, 1995~ 2010. Multi-variate techniques of factor and cluster analyses were applied with 17 primary variables using 169 and 171 Eup-Myon level data in 1995 and 2010, respectively. Applying the factor analysis with 17 primary variables of Eup-Myon level data, four principal factors were chosen as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in both 1995 and 2010, which included urbanized rural characteristics, typical paddy farming characteristics, fishery or side-job based farming characteristics, and industrialized r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all of the Eup․Myon areas in Chungcheongnam-do were classified into 6 different regional types, which included deserted farming area, low-populated hilly farming area, traditional paddy farming area, mixed area with farming and non-farming, urbanized rural-centered area, and manufacturing rural industry area.During the last 15 years, some of the regional types had faced changing phases of its characteristics, which maintained farming characteristics in one hand but decaying state in another hand, particularly some areas belonged to the traditional paddy farming area or low-populated hilly farming area in 1995 were categorized into the deserted farming area, which covered 44% of Eup․Myon areas in Chungcheongnam-do in 2010, since they had faced decreasing population with increasing the old-aged. However some areas were faced further transitional state into urbanization or industrializ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과제
Ⅲ. 분석자료와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및 해석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사용 전기에너지 수요에 관한 연구* -벼농가의 전기수요를 중심으로-
- 프리미엄 막걸리 유형별 소비자 선호도 연구
- 농촌지역 특성의 유형화와 그 분화 양상 -1995~2010년 충청남도 읍․면지역 사례-
- Influence Analysis on Resident Satisfaction and Donor Country Image in Cambodia Rural Development : Application of OECD/DAC Evaluation Criteria and PLS-SEM
- 농업경영개선을 위한 지역단위 경영조직화의 연구과제
- 대규모 가축질병 발생에 대한 소비자의 위험인식이 축산물 비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무항생제 인증제도 개선 방안
- 농업마이스터대학 교육서비스 만족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20-40대 한국 남녀 성인의 밀키트 이용실태와 영양지수
- 경제적 어려움이 청소년의 외로움 및 사회적 고립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소통․협력의 조절효과
농수해양 > 식품과학분야 NEW
- 잠재프로파일 분석에 따른 중학생의 교우관계 특성 유형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 아동이 경험하는 부모의 사랑에 관한 연구
-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주의집중 문제와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