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남범패의 소리길과 성음

이용수 78

영문명
A study of the melodic line and vocal sound of Boempae music of Youngnam region in Korea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윤소희(Yoon So hui)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18집, 113~13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통과 정보의 발달로 전국이 하나의 문화권으로 획일화되어 가는 요즈음, 불교음악도 경제범패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호남지역의 완제와 경북지역의 팔공산제는 대부분 서울과 큰 차이가 없으나 영남지역은 서울과 확연히 다른 소리세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영남의 승려와 다른 지역의 승려들은 같이 재를 지낼 수가 없다고 할 정도인데, 그만큼 영남지역 범패의 성역이 확고함을 말해주고 있다. 본고는 영남지역에서 범패를 배우는 승려들이 제일 먼저 배우는 소리인 거불성 을 통하여 영남범패의 소리길과 성음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거불 은 4성의 바탕위에 전개된다 영남범패의 소리길과 성음은 모두 4 성의 바탕에서 이루어지므로 거불 의 4성을 파악한다는 것은 영남범패의 바탕과 골격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거불 의 4성의 가장 짧은 곡인 훗소리는 긴소리 ? 겹소리로 확대되어 가는데, 시작소리와 끝부분은 원곡과 그다지 큰 변화의 폭이 없었고 확대 변주되는 부분은 주로 어허 모음으로 확대되는 중간부분에 있었다. 4성의 가장 기초소리인 거불성의 주요 골격음은 미 라 도 의 3음이다. 평성은 주로 미 에서 시작하고, 상성은 라 로 들어 올리며, 거성은 도 에서 꺾고 흔들고 논다. 각 소절은 라 음으로 종지하며 소리를 맺어주는 입성은 주로 라솔미 로 계단처럼 하행하기도 하고 랴 에서 흘러서 미 에서 맺는다. 범패의 가사는 대개 나무 로 시작하여 불보살 이름이 연결된다. 그런데 실 제 첫머리에 있는 나무 가 노래에서는 대개 끝에 붙인다. 이는 대만과 중국에서범패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점은 당나라에서 범패를 배워 와서 신라범패의 선풍을 일으킨 진감선사의 영향일수도 있어 흉미로운 사실이다.

영문 초록

The development of means of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 has brought the standardization of nation into a one cultural area. Buddhist music of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such current condition, and it has became much harder to distinguish musical characteristics of where it rooted from. For example, among many different styles of Buddhist music, Wan-je style from Honam region and Palgongsan-je sty le from Gyeongbuk region shares c10se musical characteristics with that of Gyeong-je style from Seoul. Contrast to this, Beompae music of Youngnam region show quite distinguishing musical characteristics which shows this region has been separated from other regions and developed their own styles of Boempae music. I would like to discuss about the melodic line and vocal sound of Boempae music of Youngnam region by studying the Deobulseong that is known as the first musical piece (song) for monks when they begin to leam Beompae music. Geobu l (擧佛) is structured on the basis of four different tones. Most of the melodic line and vocal sound of Boempae music of Youngnam region is based on these four tones, therefore understanding what they are and how they work and used within the music will be a key element to it. The shortest piece of Geobul starts with single-drawn voice and stretched to long-drawn and double-drawn voice. There is comparatively less change in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part of the piece whereas its variation in stretched vocal form was inserted in the middle of the piece. The most frequently used tones- main tones- are mi , la and do . Even tones are usually starts in mi , when the upper tones and lower tones are progressed in la and do . Each melodic phrases are cadenced in la , while the closing tones are descending in la-sol-mi or sometimes from la to mi . Most lyrics of these Beompae music starts with Namu(Save us) , followed by the name of each Boddhissatwa. But in actual performanceof the music, this lyric comes at the end of the song that is also showed in Buddhist music of Taiwan and China. It is interesting fact that three countries shar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each other. It could be possible that it has influenced by Master Jingam who learned Beompae music from Tang Dynasty in China and created a great sensation when he brought it in Silla Dynasty of Korea.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영남지역의 범패전승 현황
Ⅲ. 영남범패의 소리길과 성음
Ⅳ. 소리길의 확대와 변주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소희(Yoon So hui). (2008).영남범패의 소리길과 성음. 국악원논문집, 18 , 113-137

MLA

윤소희(Yoon So hui). "영남범패의 소리길과 성음." 국악원논문집, 18.(2008): 113-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