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용도와 연주자세에 따른 국악기의 형태와 그 변화 양상

이용수 174

영문명
The Styles and Their Transforma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Depending on the Uses and Playing Postures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이숙희(Yi Suk hui)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18집, 179~20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악기의 용도와 연주자세에 따른 형태와 그 변화를 살펴 국악기의 정체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국악기는 소리를 발생하는 부분과 장식 · 받침대 등 부속품 그리고 색상과 문양 장식 등 이 모든 것이 어우러져서 하나의 완성된 형태를 이룬다. 『악학궤범』 이후 국악기 중 일부 악기는 용도나 연주자세에 따라 그 형태를 구분하여 사용했다. 그러나 연주 환경 등이 바뀜에 따라 전승 과정에서 그러한 용도의 구분 없이 악기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악기의 형태가 변화된 경우도 있다 이렇게 변화된 사실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아 악기를 올바로 이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악기의 본질을 왜곡하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국악기 중 용도에 따른 형태가 변화된 악기를 『악학궤범』을 기준으로 그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악기의 형태는 제례악용과 연례악용의 용도에 따라 구분되는 것과 立式과 坐式의 연주자세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있다. 용도에 따라 악기의 형태가 구분되는 것은 편종 · 편경 · 건고 · 축이다 편종 · 편경 ·건고 · 축은 조선후기까지 제례악용 형태와 연례악용 형태의 두 가지가 전승되었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만 편종 편경 · 축은 r악학궤범」의 설명과 달리 악기의 형태와 용도가 일치하지 않았고, 건고는 연례악에만 사용했는데, 이때 악기의 형태는 연례악용과 제례악용의 두 가지 형태가 모두 사용되었다. 그리고 건고는 제례에는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r악학궤범」의 기 록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오늘날 전승되는 편종 · 편경은 연례악용의 형태이고, 축은 제례악용 형태이다. 건고는 실제 사용하지 않지만, 악기의 형태는 조선후기 연례악용 형태가 전승되고 있다. 연주자세에 따라 악기의 형 태 가 다른 것은 방향(方響)인데, 입식용(立式用) 방향의 형태는 조선후기에 전숭이 단절되었고 좌식용(坐式用)을 크게 확대하여 입식용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조선후기까지도 전상악(등가)에서는 앉은 자세로 연주하고 헌가에서는 선 자세로 연주하는 연주 자세가 이어져 왔다. 그러나 현재는 조선후기와 같이 좌식용 방향이 확대된 것을 사용하지만, 연주자세는 일반적인 연주는 물론 종묘제례악의 연주시에도 등가와 헌가 모두 서서 연주한다. 현재 궁중음악의 전승 환경이 달라졌지만, 『악학궤범』 당시에는 음악의 용도와 연주자세에 따라 악기의 형태가 다른 음악문화가 있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yles and their transforma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depending on the uses and playing postures, and to identify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becomes a complete one when it is equipped with sound-producing parts and accessaries such as ornaments and supports, plus color and decorative patterns. Since Ak-hak-gwebeom(樂學軌範: an illustrated text on Korean traditional music), some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have been divided in terms of styles, depending on the uses or playing postures. However, as performance environments changed, sometimes instruments were played regardless of the intended uses, and some styles changed, while they were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Since such changes were not rightly identified, we often fail to understand the instruments, also leave their nature distorted. This study investigated how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whose styles had changed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s have transformed in reference to Ak-hak-gwebeom. The styles of musical instruments are divided in terms of intended uses, ritual worship music or royal banquet music, or in terms of playing postures, standing style or seating style. Those Instruments that are divided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s include pyeonjong (carillon), pyeongyeong (tuned stone chimes hung on a frame), geongo, and chuk. They were handed down in two styles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 one was for ritual worship music, and another was for royal banquet music. However, for pyeonjong, pyeongyeong, and chuk, their styles and uses do not correspond to the descriptions in Ak-hak-gwebeom. Geongo was used only at royal banquet music: at that time, both styles were used for ritual worship music and royal banquet music. Considering that geongo was not used for ritual worship music, it is presumable that the descriptions in Ak-hak-gwebeom might be incorrect. The styles of pyeonjong and pyeongyeong are for royal banquet music, while the style of chuk is for ritual worship music, all of them are still used today. Although geongo is not actually used, its style for royal banquet music in the late Joseon has been handed down. Banghyang(方響) is different in style depending on playing postures. Its standing style dis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instead its seating style was greatly enlarged as a standing style. However, the playing postures were handed down until the late Joseon, with sitting style for Jeonsang-ak (or deungga) and standing style for Heonga. Although, at present, the enlarged seating-style banghyang is used as wa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relation to playing postures, its standing style is used both for deungga and heonga at Jongmyo-jeryeo-ak(宗廟祭禮樂) as well as general settings. Today, the environment of the royal court music has changed. This study has found that, at the era of Ak-hak-gwebeom, different styles of musical instruments were used depending on the uses and playing postur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숙희(Yi Suk hui). (2008).용도와 연주자세에 따른 국악기의 형태와 그 변화 양상. 국악원논문집, 18 , 179-202

MLA

이숙희(Yi Suk hui). "용도와 연주자세에 따른 국악기의 형태와 그 변화 양상." 국악원논문집, 18.(2008): 179-2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