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발명영재의 협력적 지식창출 기제

이용수 40

영문명
The Mechanisms of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of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문대영(Moon Dae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5권 제1호, 45~6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 발명영재의 협력적 지식 창출 과정에서 확인되는 기제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초등 5학년 발명영재 6명을 대상으로 육색모 사고법을 적용하여 발명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 뒤, 발명 문제 해결 과정과 인터뷰 내용 및 연구자의 관찰일지의 내용 분석을 통해 연구 결과 를 도출하였다. 내용 분석의 준거로는 Dillenbourg & Schneider(1995)가 제시한 여덟 가지 협력적 지식 창출 기제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확인된 협력적 지식 창출 기제는 ‘갈등 또는 불일치’, ‘대안의 제시’, ‘설명 또는 자기 설명’, ‘내면화’, ‘인지적 부하의 분담’, ‘상호 조정’, ‘사교적 공감대’의 일곱 가지다. 협력적 지식 창출 기제 중에서 ‘전유’에 해당하는 내용은 확인할 수 없었다. 협력적 지식 창출 기제 중 ‘갈등 또는 불일치’와 ‘대안의 제시’는 문제 해결 과정, 인터뷰 내용, 관찰 일지 모두에서 확인되었다. 발명영재들은 ‘갈등 또는 불일치’ 기제를 긍정적으로 수용하였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대안의 제시’ 기제를 익숙하게 수행하였다. ‘설명 또는 자기설명’과 ‘내면화’는 발명 문제 해결의 전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상호 조정’ 기제는 상대방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을 때, 그 대안에 대한 정당화를 요구하는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인지적 부하의 분담’과 ‘사교적 공감대’는 인터뷰 내용에서만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mechanisms of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of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ix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invention problem solving with six thinking hats method. The context analysis method was carried out in invention problem solving process, interview, and observation diary. The analysis criteria were Dillenbourg & Schneider(1995)’s eight mechanisms of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In this study seven mechanisms of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such as ‘conflict or disagreement’, ‘the alternative proposal’, ‘explanation or self-explanation’, ‘internalization’, ‘shared cognitive load’, ‘mutual regulation’, ‘social grounding’ were ascertained. The other side ‘appropriation’ was not detected. The mechanisms of ‘conflict or disagreement’ and ‘the alternative proposal’ were ascertained in invention problem solving process, interview, and observation diary. The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eived ‘conflict or disagreement’ optimistically and accomplished in ‘the alternative proposal’. The mechanisms of ‘explanation or self-explanation’ and ‘internalization’ were detected in a whole process of invention problem solving. The mechanisms of ‘mutual regulation’ was ascertained in the process of requirement for justification to the others. The mechanisms of ‘shared cognitive load’ and ‘social grounding’ were only detected in interview.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대영(Moon Dae Young). (2012).초등 발명영재의 협력적 지식창출 기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 (1), 45-63

MLA

문대영(Moon Dae Young). "초등 발명영재의 협력적 지식창출 기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1(2012): 45-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