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중 검출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국내 일부 지역 성인의 골밀도 현황 분석: 식습관, 생활습관, 신체적,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39

영문명
Analysis of Bone Mellow Density in Adults of Domestic Local Area Using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Focus on Corelation About Eating Habits, Lifestyle, Physical Features and Social Characteristics
발행기관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저자명
이태희(Tae Hui Lee) 김태형(Tae-Hyung Kim) 소운영(Woon Young So) 임희겸(Hei Gyeom Lim) 임청환(Cheong-Hwan Lim) 박명환(Myeong Hwan Park) 천명기(Myung-Ki Cheoun)
간행물 정보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9권 제4호, 517~526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방사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중 검출 전산화단층촬영(Multi detecter computed tomography; MDCT)에서 계산된 골밀도 값과 대상 검사자 의 생활양식, 신체적 특성,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5년 7월 15일부터 2016년 6월 6일까지 00의료원에 내원한 검사자 141명(남: 63명, 여: 78명)을 대상으로 MDCT를 시행하여 HU값을 골밀도의 T-score 값으로 환산하였다. 골밀도를 측정한 대상 부위는 요추 두 번째, 세 번째 그리고 네 번째 요추이었으며, 남녀별 골밀도 차이와 검사자의 생활양식, 신체적 특성,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독립표본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남녀의 골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p<0.05), 연령별 골밀도 값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골밀도 값 이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는 남성의 경우는 20대부터 50대까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5), 20대와 60대 이 상의 연령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여성의 경우는 20대부터 40대까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p>0.05), 50대 이후로 골밀도가 급격히 감소하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여성인 경우만이 월경과 폐경, 출산, 음주 유무와 잡곡류, 계란, 기름진 음식 섭취 유무에 대하여 골밀도 변화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남성의 경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DCT를 이용한 골밀도 측정법으로 검사자의 생활양식, 신체적 특성,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추정할 수 있었고, 골다공증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BMD (bone mineral density) value calculated in the MDCT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and lifestyle, physical features and social characteristics. From July 15 2015 to June 6 2016, we converted from HU (hounsfield unit) value measured by using MDCT to T-score for BMD of 141 patients (male: 63, female: 78) in W medical center. We measured the 2nd, 3rd and 4th lumbar spine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gender differences in BMD and lifestyle, physical features and social characteristic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alidated using independent sample T test with one way Anova. Gender BMD was confirmed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MD values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but for the statistically m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20s to 50s, it on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20s and 60s (p<0.001). For the statistically wom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20s to 40s. but since 50s BMD was decreased rapidly,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menstruation and menopause, childbirth, alcohol, cereals and greasy food in bone mineral density (p<0.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 The bone mineral density values calculated by the MDCT and lifestyle, physical features and social characteristics correlation analysis method is considered to be used as a basis for estimating the state in BMD and osteoporosis management.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III. 결 과
Ⅳ. 고 찰
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희(Tae Hui Lee),김태형(Tae-Hyung Kim),소운영(Woon Young So),임희겸(Hei Gyeom Lim),임청환(Cheong-Hwan Lim),박명환(Myeong Hwan Park),천명기(Myung-Ki Cheoun). (2016).다중 검출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국내 일부 지역 성인의 골밀도 현황 분석: 식습관, 생활습관, 신체적,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방사선기술과학, 39 (4), 517-526

MLA

이태희(Tae Hui Lee),김태형(Tae-Hyung Kim),소운영(Woon Young So),임희겸(Hei Gyeom Lim),임청환(Cheong-Hwan Lim),박명환(Myeong Hwan Park),천명기(Myung-Ki Cheoun). "다중 검출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국내 일부 지역 성인의 골밀도 현황 분석: 식습관, 생활습관, 신체적,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방사선기술과학, 39.4(2016): 517-5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