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장애자녀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331

영문명
The Study of the Disability Education Experience of the Mothers for their Children with Brain Lesions - Hermeneutic Grounded Theory Methodology -
발행기관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저자명
강선경(Sun Kyung Kang) 최윤(Yoon Choi)
간행물 정보
『재활복지』재활복지 제20권 제4호, 79~10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 장애교육 현상이 어떻게 경험되고 있으며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7명의 중증뇌병변장애인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구술 원자료를 Rennie(2000; 2006; 2007)의 해석학적 질적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3개의 의미단위와 16개의 하위범주 및 7개의 해석학적 범주를 구성하였다. 해석학적 범주는 ‘매일매일 통곡하는 마음’, ‘자원의 사회적 동원’, ‘앞만 보고 전진’, ‘계란으로 부순 바위’, ‘먼 곳 바라보기’, ‘더불어사는 교육’, ‘장애교육의 주체화’이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장애자녀 교육은 체념단계, 추스림 단계, 비전세우기 단계와 도전단계, 작은 성취 단계를 통하여 최종적으로는 공동체에 희망걸기 단계로 나아가는 좌절과 희망세우기의 동시경험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이 보이는 반복적인 공통의 행위패턴을 분석한 결과 추수형, 현실전략형 및 불굴의 도전형의 세 가지 유형을 보이고있었다. 이들의 교육경험의 핵심범주는 ‘중증장애 절망을 교육을 통해 희망으로 바꾸어가는 연단의 과정’이었다고 결론지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교육경험의 실태와 사회구조적 문제에 대한 논의를 하였고, 어머니들의 장애자녀 교육 지원을 위한 구체적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s of the disability education of the mothers who reared their children with brain lesions. For this purpose, Rennie s hermeneutic grounded theory was applied and the consented 7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the in-depth interviews, 53 meaning units, 16 subordinate categories and 7 hermeneutic categories were classified. These 7 hermeneutic categories were ‘wailing miserably everyday’, ‘social mobilization of the surroundings’, ‘straight forward , ‘smash rock with the eggs’, ‘looking at a faraway’, ‘learning together’ and ‘subjectivation of disability education.’ The experience of disabled children education process was concurrent experience of frustration and hoping that moving toward a big hope through the resignation stage, the chasing stage, the vision stage, the challenge stage, and the small achievement stage. Repetitive common patterns of behavior revealed three types: wishy-washy type, realistic-strategy type, and indomitable-challenge type. Moreover, the core category of educational experience was concluded to be ‘a pedagogical process of turning despair from severe disabilities into hope through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concrete intervention pla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were suggested to support the disabled children s lives with high quality of educ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선경(Sun Kyung Kang),최윤(Yoon Choi). (2016).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장애자녀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20 (4), 79-106

MLA

강선경(Sun Kyung Kang),최윤(Yoon Choi).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장애자녀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20.4(2016): 79-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