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합교육 이론의 실천적 변환을 위한 들뢰즈 존재론 탐색

이용수 358

영문명
Deleuze’s Ontology and Transformation of Inclusive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김형준(Kim, Hyoung Jun) 곽승철(Kwak, Seung Chul)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1권 제3호, 93~131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통합교육 이론을 보다 실천적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러한 목표는 실천의 문제이자 철학의 문제인 통합교육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맹목적인 실천이나 공허한 이론이 되는 것을 넘어서보려는 실험적인 의도를 담고 있다. 이를 위해 현대 형이상학이자 차이의 철학인 들뢰즈존재론의 바탕위에서 기존의 통합교육 이론을 포괄하는 새로운 통합교육의 구성을 시도해 보았다. 논의를 통해 새롭게 도출된 개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의 관계는 특수교육 = 통합교육 ‘들’이라는 외부와의 관계에 열린 체계로 변환될 필요가 있다. 둘째, 특수교육은 현재의 지배적인 코드 인 ‘최소제한환경’과 함께 전체 교육 배치를 변환시키기 위한 새로운 코드로서 ‘최대확장배치’를 상정할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제시한 두 개념은 각각 통합교육의 논리적 구조와 현실적인 실천으로부터 도출된것이다. 우리는 도출된 이상의 두 개념을 종합하여, 우리가 구성한 통합교육을 ‘긍정의 통합교육’이라는 개념으로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practically transform the inclusive education theory, as well as intends to experimentally surpass inclusive education’s—an issue of practice philosophy—slant to one direction and its development into a blind practice or void theory. To this end, we attempted a new composition of inclusive education, encompassing existing theories on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Gilles Deleuze’s ontology, modern metaphysics, and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The concepts newly derived through the discussion are: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may be transformed into an open system in a relationship with the outside that special education is equal to inclusive educations. The reason is that when an arbitrary integration was premised, which enables only certain inclusive education as in internal structure of current special education, contrasting inclusive education with separated education, the production of realistic inclusive education is also restricted. Second, special education needs to bring in a “maximal expansive assemblage” as a new code to transform the entire educational assemblage together with a minimally restrictive environment, the current dominant code. This aims to make special education assemblage a singular point to transform the entire educational assemblage by contacting special education assemblage with artistic, vocational, and social assemblages, not just the general education assemblage. The two concepts presented above have been derived from the logical structure and realistic practice of inclusive education, respectively. By summarizing the two concepts derived through the discussion, we consider the inclusive education we composed may be expressed as the concept of “positive inclusive educ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형준(Kim, Hyoung Jun),곽승철(Kwak, Seung Chul). (2016).통합교육 이론의 실천적 변환을 위한 들뢰즈 존재론 탐색. 특수교육학연구, 51 (3), 93-131

MLA

김형준(Kim, Hyoung Jun),곽승철(Kwak, Seung Chul). "통합교육 이론의 실천적 변환을 위한 들뢰즈 존재론 탐색." 특수교육학연구, 51.3(2016): 93-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