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러시아정교-이슬람 관계를 통해서 본 러시아 이슬람권 선교 전략에 대한 모색

이용수 124

영문명
A Study on Mission Strategy in Muslim Areas in Russia Focused on Relations between Russian Orthodox and Islam
발행기관
한국선교신학회
저자명
정세진(Se Jin Jung)
간행물 정보
『선교신학』제44집, 377~40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0.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서로 이질적인 종교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 즉 다민족, 다문화권에 대한 선교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할 때 그 민족 고유의 역사적, 정치적 상황을 면밀히 고찰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이 점은 특히 이슬람 선교에 더욱 중요하다. 피지배 민족의 역사 및 정치적 상황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도 주요한 선교전략 요소이지만, 지배민족인 러시아의 정신적, 종교적 정체성인 러시아정교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다문화권 선교전략을 모색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연구 주제다. 이에 따라 본고는 비이슬람으로서 지배민족의 종교적 정체성과 이슬람 사이에 역사적, 정치적 관계를 파악하는 일에 집중하고자 한다. 본고는 러시아의 정복 대상지였던 이슬람권 지역에 대한 이해를 통해 러시아 지역에 대한 선교전략을 모색하며, 이를 위해 피지배민족인 러시아연방 내 무슬림 민족들에 대한 역사적, 종교적 부분, 그 중에서도 러시아정교와 이슬람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고는 러시아권에서의 러시아정교와 이슬람의 역사적 이념을 러시아와 오스만 튀르크와의 역사적 관계를 통해서 규명하며, 소비에트 체제 이후 러시아정교와 이슬람의 관계를 통해 이를 강조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현재의 러시아연방 내에서 러시아정교도와 무슬림 간의 종교 정체성에 대한 기본적인 틀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러시아연방 내의 무슬림권에 대한 선교 전략을 도출하는 학적, 방법론적 내용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mission strategy in Muslim areas in Russia focused on relations between Russia and Islam. This article attempts investigate the ideas of Russian Orthodox and Islamic ideology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surroundings in Russia and conquered Muslim areas of Russian empire. This article explores examining particularly the historic-cultural origin and the process of religious relations inside Russia and among the North Caucasus peoples. Chapter Ⅱ examines historical relations between Russian Orthodox and Islam in Russia. Chapter Ⅲ reviews the relations of Russian Orthodox and Islam in Russia focused on religious identity between the Russian and Ottoman Turkish empires. Chapter Ⅳ analyzes the relations of Russian Orthodox and Islam since the Soviet times. Chapter Ⅴ−in place of a conclusion−explores the possibility of religious co-existence within Russian Orthodox and Islam in Russia. Tsarist religious politics took shape in the competitive international context of empire-building. Religious identities took on new meanings where states pursued imperial expansion as the extension of protection to co-religionists. The ideology of Russian Orthodox focuses on national conception. The Moscow Patriarchate and moderately nationalist politicians, relying to some extent on Eurasianist ideas, saw the relationship between Orthodoxy and Islam in Russia as a harmonious one, and, on the whole. The thesis investigates aspects of how a religion can be formed out of the recognition of the people in Russia.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a mission strategy of the historical conception of Russian Orthodox and Islam in Russian Muslim regions by examining religious coexistence through cultural legitimacy.

목차

한글초록
Ⅰ. 서론
Ⅱ. 러시아 역사에서의 러시아정교와 이슬람의 관계
Ⅲ. 러시아권에서의 러시아정교와 이슬람의 관계:러시아와 오스만 튀르크의 관계를 통해서 본 종교정체성
Ⅳ. 소비에트 체제 이후 러시아정교와 이슬람의 관계
Ⅴ. 결론을 대신하여:러시아 내 러시아정교-이슬람의 종교적 공존의 가능성
Abstract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세진(Se Jin Jung). (2016).러시아정교-이슬람 관계를 통해서 본 러시아 이슬람권 선교 전략에 대한 모색. 선교신학, 44 , 377-408

MLA

정세진(Se Jin Jung). "러시아정교-이슬람 관계를 통해서 본 러시아 이슬람권 선교 전략에 대한 모색." 선교신학, 44.(2016): 377-4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