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 침해부당이득법 개관

이용수 98

영문명
Introduction to the US Law of Restitution for Wrongs - Focusing on the Restatement (Third) of Restitution and Unjust Enrichment -
발행기관
한국재산법학회
저자명
진도왕(Jin, Do-Wang)
간행물 정보
『재산법연구』財産法硏究 第33卷 第3號, 257~28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제3차 리스테이트먼트를 중심으로 미국 침해부당이득법을 개관하고자 한다. 미국 부당이득법 상 우리의 침해부당이득에 해당하는 것은 제3차 리스테이트먼트에서 제시하고 있는 “위법행위에 기한 원상회복(Restitutiton for Wrongs)”이라고 할 수 있다. 양자 간에 차이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 침해부당이득의 원인행위 유형이나 구체적 보호대상이 미국법상의 그것들과 상당히 중첩되어 있고, 또한 재산적 가치의 부당한 귀속을 시정하여 훼손된 공평 또는 정의를 회복시킨다는 제도적 취지가 동일하다는점에서 양자를 동일선상에 올려두어 조망하는 것에 큰 오류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권방식에 기초한 영미법의 역사적 특수성 때문에 구제수단으로서 원상회복 또는 청구원인으로서 부당이득이 따로 분리되어 전개되어 온 점은 침해부당이득을 바라보는 접근에 있어서 다소간의 차이를 자아낸다. 또한 침해부당이득에 있어서의 반환책임 또는 반환범위의 내용에서도 얼마간의 차이를 엿볼 수 있다. 무엇보다 미국 부당이득법이 세 차례에 걸친 리스테이트먼트의 제작과정에서 독자적 영역화 및 통일적 원리화를 이룩해 내었다고 평가되더라도, 그 기초는 유형론적 사고에서 출발한 만큼,오히려 유형론적 사고의 필요성이 점차 유력해지고 있는 우리의 부당이득법 현실에서는 이러한 미국법이 시사점을 제시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Restitution for Wrongs in the U.S. Restatement(Third) of Restitution and Unjust Enrichment. The restitution for wrongs may be analogized with the Korean unjust enrichment law, especially “Eingriffskondiktion”. Although there is som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y are so similar enough to make an analogy in the sense that they provide the same type of wrongs and legitimate interests, as well as the same purpose of pursuing fairness and justice through restoration of someone to a rightful position. Nevertheles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os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making a comparison. First of all, that the Anglo-American legal system has historically developed the restitution by referring legal obligations and their associated remedies without separation implies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restitution for wrongs from the Korean. Also, the U.S. restitution for wrongs provides distinctive liability and scope in restitution, a so-called “disgorgement” which allows a claimant to restore all profits that a wrongdoer has realized through his wrongdoing. Moreover, while the U.S. law of restitution and unjust enrichment has attempt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and unifying basis of liability in common-law legal systems, it remains the typological approaches still commonly employed in most unjust enrichment cases. These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reforming or improving the Korean law of unjust enrichme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도왕(Jin, Do-Wang). (2016).미국 침해부당이득법 개관. 재산법연구, 33 (3), 257-286

MLA

진도왕(Jin, Do-Wang). "미국 침해부당이득법 개관." 재산법연구, 33.3(2016): 257-2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