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선피항선의 범위에 관한 고찰* - 총톤수 20톤 미만 어선의 경우를 중심으로

이용수 35

영문명
A study on the scope of vessels obligated to give-way in trade port area - Focused on the fishing vessels under G/T 20 1
발행기관
한국해사법학회
저자명
이창희(Chang-Hee Lee)
간행물 정보
『해사법연구』해사법연구 제28권 제3호, 55~7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구)「개항질서법」1)상의 “잡종선”이란 용어는 2011년 6월에 동 법률이 개정 되면서 “우선피항선”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용어의 정의도 달라졌다. 특히 “주 로 개항의 항계 안에서 운항하는 선박으로서”라는 문구가 처음 삽입되어 많은 논란이 발생되게 되었다. 이후 해양안전심판원에서는 때로는 이전의 ‘잡종선’의 개념으로 우선피항선 해당여부를 판단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특히 총톤수 20톤 미만 어선의 우선피항선 해당여부에 대하여 논란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해양 안전심판원은 이를 다시 판단하여 해당 어선이 우선피항선의 요건인 총톤수 20 톤 미만의 선박에 해당되더라도 무역항 내에서 주로 운항하는 선박이 아니면 우선피항선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판단이 타당하다 면 개정 이전 법률이 복잡한 무역항의 항계 안에서 선박운항의 안전 및 질서 유지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조종성능이 우수한 20톤 미만의 선박을 모두 우선피 항선(잡종선)으로 규정한 원칙과 어긋나며, 이로 인하여 복잡한 무역항의 항계 내 해상교통질서가 위협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국가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무역항의 해상질서 유 지와 안전을 위하여 관련 규정을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의 사항을 고려하면 「선박입출항법」제2조제2호의 본문에서 “주로 무 역항의 수상구역에서 운항하는 선박으로서”란 구절을 삭제하면 이 조항의 개 정수요를 해결하게 된다.

영문 초록

The term “miscellaneous vessels” in the past Public Order in Open Ports Act is amended to “vessels obligated to give-way” in 2011. Especially the clause “the vessel that mainly sails in the open port area” is newly inserted, which cause argument in interpreting the provision. In 2015, “Public Order in Open Ports Act” is changed to “The Act on the Entry and Departure, etc of vessels” and the clause “the vessel that mainly sails in the open port area” also changed to “the vessel that mainly sails in trade port area”. But even after the amendment, the related decisions of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had been based on the terms of “miscellaneous vessels” especially for the fishing vessels under G/T 20. However, recently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changed their attitude.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made a new decision that a fishing vessels under G/T 20 is not obligated to give-way because their main navigation area is not in trade port area. But that decision and interpreting of the provision is accepted, the safety and order of the transportation in the water area of trade ports could be in danger. The safety and order of the transportation in the trade port area is very important for national economics, and the provision must be amended again. The way to secure the safety and order of the transportation in trade port area is to delete the clause “the vessel that mainly sails in trade port area” from the related provision in The Act on the Entry and Departure, etc of vessels.

목차

Ⅰ. 서론
Ⅱ. 우선피항선의 정의의 변화와 문제점
Ⅲ. 선박입출항법의 목적과 우선피항선
Ⅳ. 우선피항선 정의규정의 문제점 해결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희(Chang-Hee Lee). (2016).우선피항선의 범위에 관한 고찰* - 총톤수 20톤 미만 어선의 경우를 중심으로. 해사법연구, 28 (3), 55-72

MLA

이창희(Chang-Hee Lee). "우선피항선의 범위에 관한 고찰* - 총톤수 20톤 미만 어선의 경우를 중심으로." 해사법연구, 28.3(2016): 55-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