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디어 이용이 범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97

영문명
The Media’s Influence on Public Perception of Crime
발행기관
한국공안행정학회
저자명
이재영(Lee Jae Young) 정병수(Jung Byung Soo)
간행물 정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25권 3호, 191~21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문화계발효과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문제에 대하여 경험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첫째, Gerbner의 문화계발효과를 전제로 미디어이용이 범죄증감 및 추세 인식,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미디어 효과 변수를 미디어 뉴스의 총시청량과 범죄보도의 접촉경험으로 구분하여 각 독립변수가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텔레비전과 함께 인터넷의 영향을 측정하여 뉴미디어시대에서도 여전히 문화계발효과가 유효한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전국 6개 지역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699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변인 가운데 경찰에 대한 신뢰는 범죄증감 및 범죄추세 인식에 영향을 미쳤으며 성별은 범죄에 대한 인식과 관련한 각 변수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와 같은 통제변인은 미디어관련 변수를 추가한 후에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범죄증감 및 범죄 추세에 대한 인식에는 미디어의 총 시청량 보다는 범죄보도 접촉경험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미디어시청이 비선별적이며 습관적이라는 Gerbner의 가정은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텔레비전의 이용은 범죄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인터넷을 통한 범죄보도 접촉경험은 범죄증감 및 추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뉴미디어의 효과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는 미디어관련 변수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Cultivation Theory introduced by Gerbner in the 1970s is of great interest to many researchers who are researching the influence of media on public. Within the domestic criminology, media has been dealt with as a factor which contributes to the public fear of crime,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consideration of the Cultivation Theory and the new media environment.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have dealt with 3 main issues derived from the Cultivation Theory. Firstly, we have researched the influence of the Cultivation Theory on public perception of crime. Secondly, we have differentiated between the total number of hours spent on watching the news and the hours spent on watching the news specifically on crimes. Lastly,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Cultivation Theory still applies to the new media era, we have researched the influence of the internet on public perception of crime. The following summaries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that we have performed. Firstly, within the control variables, the public trust on police had an influence on the number of crimes and its trend. Gender played a substantial role in creating the public perception of crime in every situation. Secondly, the public perception on the number of crimes and its trends is significantly impacted by the number of times a person is exposed to news specifically on crimes rather than the total number of hours a person is exposed to media. Therefore Gerbner s theory that media is non-selective and is habitual cannot be supported. Thirdly, images transmitted through popular television media prove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public perception of crime. In contrast, exposure to crime images from internet proved to have influence on public perception of crime which demonstrates the impact of the new media era on public. Lastly, the variety of types of media exposure does not have impact on public fear of crime. Based upon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we have discusse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영(Lee Jae Young),정병수(Jung Byung Soo). (2016).미디어 이용이 범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5 (3), 191-217

MLA

이재영(Lee Jae Young),정병수(Jung Byung Soo). "미디어 이용이 범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5.3(2016): 191-2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