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찰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실태와 제도적 대처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이용수 705

영문명
A Study on the Surve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Korea Police Officers and Systematic Counter-measures
발행기관
한국공안행정학회
저자명
박재풍(Park Jae Poong) 김병화(Kim Byung Hwa)
간행물 정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25권 3호, 109~13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회는 2012년 8월 「경찰공무원 보건안전 및 복지기본법」을 제정하였다. 동법의 시행령은 “경찰관의 질병 및 건강에 관한 현황을 조사한 후 PTSD에 대한 건강장애요인을 고려하여 검진대상의 경찰관과 검진항목”을 정하도록 하고 있다. 경찰관은 직무특성상 외상사건에 노출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잠재적인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요인의 위험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의 경찰트라우마센터는 4개소 밖에 되지 않는 등 상담인력, 교육, 홍보 등 인프라구축이 미흡하며, 경찰의 조직문화특성으로 인한 정신건강의 잘못된 인식과 오해로 인해 병원에 내원하기를 꺼리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국내 경찰관 649명을 대상으로 외상사건,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우울증에 대한 스트레스 점수와 외상사건요인, 그리고 PTSD 위험군과 인구학적 특성과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 점수에서 외상사건의 경험유무와 횟수보다는 외상사건 요인에 따라 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테면, “동료의 부상 및 사망”,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교통사고”, “신체가 상당히 훼손된 살인사건”, “영유아사건” 등과 같은 요인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외상사건 혹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위험군은 PCL, IES-R-K, PHQ-9의 3가지 유형의 검사를 하여 고위험, 저위험, 일반군으로 분류하였는데 각각의 유형은 다양한 인구학적 특성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찰관의 기능에 따른 차이는 IES-R-K와 PHQ-9에서 공통적인 특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외상사건 혹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우울증 간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 경찰관 기능 중 생활안전, 수사, 형사업무 순으로 위험군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경찰조직은 경찰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외부요인,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위험군 분류 등을 활용하여 정책수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Congress made law 「FRAMEWORK ACT ON HEALTH, SAFETY, AND WELFARE OF POLICE OFFICERS」at Aug, 2012. This decree provides that Mental health checkups shall be conducted for police officials suspected of having a mental condition, such a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such cases, the Commissioner General of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may entrust diagnosis of mental health conditions of police officials to a private institution specializing in psychological counselling, if necessary in order to determine persons subject to mental health checkups. Because Police officers mainly faced to traumatic events due to the nature of their jobs they belong to potential risk group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ut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have only 4 police trauma centers and fall short of having professional counselors, education, public relation of mental health. Moreover the police officer of korea do not want to check their mental health because of police subculture. This study, taking problematic points, analyze traumatic events, PTSD, PCL, IES-R-K, PHQ-9 and correlation between potential risk group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649 police officers. This study shows: First, stress scores shows high in traumatic events factor more than the existence of traumatic events experience and counts. For example, “injury or death of colleague”, “accidents which have heavy casualties”, “murder case was dead body was ruined”, “ infants and children case” factors get a high score. Second, traumatic events and PTSD risk groups were classified under 3 heads as high risk, low risk, general group(estimated prevalence) by testing PCL, IES-R-K, PHQ-9 types and each type has a correlation with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can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correlation with traumatic events, PTSD and tristimania. Therefore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need to make a mental health plan using factors of PTSD and results of estimated prevalence for police officers.

목차

Ⅰ. 서론
Ⅱ. PTSD의 이론적 배경
Ⅲ. 실태조사 및 분석결과
Ⅳ. 정책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풍(Park Jae Poong),김병화(Kim Byung Hwa). (2016).경찰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실태와 제도적 대처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5 (3), 109-138

MLA

박재풍(Park Jae Poong),김병화(Kim Byung Hwa). "경찰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실태와 제도적 대처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5.3(2016): 109-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