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ellulase 계 효소를 이용한 발효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변화

이용수 175

영문명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Tea Extract by Cellulase Treatment
발행기관
한국차학회
저자명
김선화(Sun Hwa Kim) 박선일(Sun Ill Park) 이희수(Hee Soo Lee) 최미애(Mi Ae Choi)
간행물 정보
『한국차학회지』제22권 제3호, 37~43쪽, 전체 7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조한 발효차의 일반성분 중 탄수화물은 50% 이상 함유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다당류의 하나로 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섬유소 함량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어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효소제를 사용하여 항산화성 활성을 높인 발효차 가공품 개발하기 위해 재래종 찻잎으로 제다한 발효차를 이용하여 cellulase계 효소 종류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데아플라빈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효소제를 이용한 구간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00 ppm 이상 처리를 하였을 때 cellulase B (viscozyme) 효소제를 이용한 구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낮은 농도를 처리하였을 때는 비슷한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효소제 처리를 한 구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발효차의 주요 기능성 성분인 TF류의 성분 함량은 대조구에서는 낮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cellulase B (viscozyme) 효소제 처리를 한 구에서 TF, TF3G , TF3 G 함량이 0.320, 2.223 및 5.164 mg/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발효차를 활용하여 추출액을 제조함에 있어 cellulase B 효소제를 이용함으로써, 항산화성이 향상된 가공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어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und that carbohydrates account for more than 50% of the general components of manufactured fermented teas.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believe that manufactured fermented teas have an especially high content of fibers, a kind of polysaccharide consisting of glucoses, which are known to form the cell walls of plants. To develop a fermented tea product with improved antioxidant activities by using enzymes, fermented tea was treated with cellulase. The tea leaves were analyzed along with the activation levels of the antioxidants contained in the tea extracts and their theaflavin contents as a function of the type of cellulase treatmen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r in those sections containing enzymes.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higher activation levels in those sections treated with 100 ppm and above of cellulase and in those specimen groups containing cellulase-B enzymes. The 2,2 -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howed similar activation levels in the low-concentration groups, but displayed increasing activation levels when the treatment concentration was higher. The control group showed a lower concentration of theaflavin, the main functional ingredient of fermented tea. In contrast, those specimen groups treated with cellulose-B enzymes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theaflavin, theaflavin 3-gallate, and theaflavin 3 -gallate, which were respectively measured at 0.320, 2.223 and 5.164 mg/L.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e study findings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tea product with improved antioxidant activities by using the extract of a fermented tea containing cellulose-B enzymes (viscozyme).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화(Sun Hwa Kim),박선일(Sun Ill Park),이희수(Hee Soo Lee),최미애(Mi Ae Choi). (2016).Cellulase 계 효소를 이용한 발효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변화. 한국차학회지, 22 (3), 37-43

MLA

김선화(Sun Hwa Kim),박선일(Sun Ill Park),이희수(Hee Soo Lee),최미애(Mi Ae Choi). "Cellulase 계 효소를 이용한 발효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변화." 한국차학회지, 22.3(2016): 37-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