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평가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류

이용수 1103

영문명
Identifying Latent Profiles in K-CESA : Focused on H University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오종현(Jong Hyun Oh) 나은영(Eun Yeong Na) 강병덕(Byung Deok Kang)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1권 제2호, 31~5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H대학교 학생들의 핵심역량 진단 결과(이하 K-CESA)를 잠재 프로파일 모형을 사용하여 분류한 연구이다. 분석결과, H대학 학생들의 K-CESA 잠재집단은 ‘전반적 저조’, ‘전반적 보통’, ‘전반적 우수’, ‘인지기능 및 의사소통 중심’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H대학 신입생들이 각 잠재집단에 소속될 확률은 교수와 학생 간 교류, 능동적·협력적 학습, 학업적 도전, 수업준비정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면, 인지기능 및 의사소통 중심 집단은 다른 잠재 집단에 비해 교수와 학생 간 교류, 학업적 도전, 수업에 대한 준비가 높고 능동적·협력적 학습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업적 도전이 높은 신입생일수록 전반적 보통 집단 보다 전반적 우수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반면에, 전반적 저조 집단과 전반적 보통 집단, 전반적 저조 집단과 전반적 우수 집단을 변별하는 유의한 학습과정 변수를 찾을 수 없었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각 잠재집단의 특성에 맞는 시사점과 교육적 피드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H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he K-CESA using the latent profile analysis. The students are classified as ‘overall low-level skill’ group, ‘overall mid-level skill’ group, ‘overall high-level skill’ group, and ‘cognitive function and communication oriented’ group. A set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tudent faculty interactions,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level of academic challenge and class preparation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latent profile membership. Students who reported high level of student faculty interactions, academic challenge, and class preparation, but low level of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overall high-level skill’ group than other latent groups. High level of academic challenge was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overall high-level skill’ group than the ‘overall mid-level’ skill group. In contrast, there was no significant learning process variable to discriminate multiple groups: ‘overall low-level skill’ versus ‘overall mid-level skill’ group and ‘overall low-level skill’ versus ‘overall high-level skill’ group.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and educational feedback were suggested in terms of latent profile groups.

목차

Abstract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종현(Jong Hyun Oh),나은영(Eun Yeong Na),강병덕(Byung Deok Kang). (2016).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평가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류.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1 (2), 31-55

MLA

오종현(Jong Hyun Oh),나은영(Eun Yeong Na),강병덕(Byung Deok Kang).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평가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류."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1.2(2016): 3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