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적극적 대중 포교가로서의 「祭亡妹歌」 연구

이용수 275

영문명
A study of Je-mang-mae-ga as the positive missionary song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조용호(Cho Yong ho)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34권, 43~83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제망매가」에 대한 기존논의들이 미해결로 남겨 놓은 중대한 문제들을 명시하고, 그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하려는 목적에서 집필한 것이다. 나는 그 문제들의 핵심을 언어적인 것, 논리적인 것, 상황적인 것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 모든 문제의 해결책은 노래의 청자를 죽은 월명의 누이가 아니라, 월명이 천도재를 지낼 때 참여하여 도와주던 사람들이라고 보고, 노랫말을 새롭게 해석하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런 생각을 논리적으로 펼쳐가는 과정에서, 우선은 원문의 한자 ‘吾’를 죽은 누이(앞에 나온 글자)와 나(뒤에 나온 글자)라고 나누어 보는 견해들에 반대하고, 월명과 청중을 모두 포함하는 복수인 ‘우리’라고 해독하였다. 그러면 일관되게 월명이 청중을 향해 발화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그 외에도 여러 문제적인 구절들을 다시 해독하여 논리에 일관성을 갖추고자 하였다. 월명은 누이의 천도재를 지내면서, 제사에 동참하는 사람들을 향하여 6도의 윤회를 거듭하는 숙명을 타고난 인간의 한계를 각성시켰다. 그리고 6도를 윤회하는 반복성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부처의 가르침을 믿고 올바르게 수양을 해야 한다는 진리를 제시하였다. 그렇게 하여 모두 극락세계에 간다면 다시는 윤회의 길을 떠돌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현재 인간세계에서 맺고 있는 소중한 인연을 계속하여 이어갈 수 있다는 것이 이 노래에 투영된 월명의 의도였다. 그런 점에서 「제망매가」는 적극적인 대중 포교가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dissertation was written for the purpose to suggest some problems that were unsolved in existing discussions about Je-mang-mae-ga and to offer solutions for them. I divided the problems by three categories: linguistic problem, logical problem, and situational problem. The solutions of these problems could be found in a new interpretation of the lyrics of it. The focus of this interpretation was a change in understanding of the listener. I thought that the listener of the song was not the sister of Wol-myeong(the author of Je-mang-mae-ga), but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Cheon-do-jae(the ritual that guides the soul of dead person to paradise) and helped to go through the ritual. In the course of developing this thought, firstly, I opposed to an opinion that the letter ‘吾’(‘oh’ that means ‘I’ or ‘We’) had two references. In this opinion, while ‘吾’ referred to the dead sister of Wol-myeong in the fore part, it meant ‘I’(Wol-myeong) in the latter part. Instead, I interpreted it as ‘u-ri’(the plural form of ‘I’) that included not only Wol-myeong but also the people. On the base of this interpretation, Je-mang-mae-ga could consistently considered as a locutionary act from Wol-myeong to the people. In addition to that, I tried to establish a logical consistency of the interpretation of Je-mang-mae-ga by re-deciphering several problematic phrases. As having performed Ceon-do-jae for his sister, Wol-myeong aroused the people in the situation human limitation that they had to be trapped in Samsara(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Furthermore, he suggested the truth that people had to trust the teaching of Buddha and rightly improve their minds for escaping from the repeat of Samsara. Eventually, it was Wol-myeong’s intention being projected in this song that, if people could go to paradise by practicing the truth, they did not only wander around Samsara but also could support their precious connections in the human world. At the point of this view, Je-mang-mae-ga could be defined as the positive missionary song of Buddhism.

목차

1. 문제 제기
2. 노랫말의 해독
3. 노래의 의미와 작자의 의도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용호(Cho Yong ho). (2016).적극적 대중 포교가로서의 「祭亡妹歌」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34 , 43-83

MLA

조용호(Cho Yong ho). "적극적 대중 포교가로서의 「祭亡妹歌」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34.(2016): 43-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