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국유사』 <보양이목>조 용궁삽화와 용자파견(龍子派遣)화소의 서사적 실현과정 연구

이용수 345

영문명
Study on the narrative realization process of the Sea Dragon’s Palace episode and the motif of sending Sea Dragon’s son in the tale of “Boyang and Yimok” contained in the Samgukyusa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강진옥(Kang Jin ok)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34권, 5~4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삼국유사』 <보양이목>은 고승 보양(寶壤)의 행적을 4개의 삽화를 통해 보여준다. 이들은 다양한 서사전통을 계승하면서 독자적인 변용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용궁삽화의 경우 불교서사의 오랜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용자 이목(璃目)을 보내 고승을 시봉하게 하는 ‘용자파견’ 화소를 제시하고 용왕의 입을 빌어 서사내용 전반을 예시함으로써 전대 서사들과는 차별화되는 변이양상을 보여준다. 용자파견 화소의 본격적 서사화는 『삼국유사』 <처용랑망해사>에서 처음 확인된다. 동해용자 처용은 서해용자 이목과 그 서사적 층위에서 뿐만 아니라 인물의 행적에서도 민속신앙적 면모가 부각된다는 공통성을 보여주고 있어, 양자의 연관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용자파견 화소를 주목하는 이유는『삼국유사』 <보양이목>과 구전설화의 관계 규명에도 일정한 참조가 되기 때문이다. 『삼국유사』 설화가 이목과 이목(梨木, 배나무)를 동일시한 후 배나무의 행방을 문제 삼는데 비해, 구전설화는 보양을 떠나 이주하는 이목의 행방을 추적한다. 이목은 구전설화에서 기우제의 대상으로 자리하면서 민속신앙의 영역으로 귀환하는 반면,『삼국유사』에서는 배나무와 동일시되고 다시 법당의 빗장뭉치로 전환하면서 불교적 세계관 속에 완전히 편입하게 된다. 구전설화와 『삼국유사』 설화의 차이는 서로 다른 세계관적 지향에서 비롯되고 있다. 고승의 서해용궁 방문은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동진(東進)하는 불교의 세계종교화 과정을 보여준다. <보양이목>의 용궁삽화는 불교적 서사전통을 계승하면서 용자파견 화소를 통해 운문사 주변지역의 문화문맥(文化文脈)을 반영했던 것으로 보인다. 구전설화가 이목의 이주라는 사건을 통해 불교적 세계관에 대한 반발을 드러내고 있다면, 삼국유사는 이목과 배나무를 동일시하고, 다시 배나무를 불교적 세계관 속에 편입시킴으로써 재래신앙과 불교의 갈등을 해소하고 화합을 시도하고 있다. 일연은 이러한 세계관적 지향을 서사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관습화된 불교적 서사전통 뿐만 아니라 민속적 서사전통을 다각적으로 계승하면서 전승현장의 문화문맥을 반영하는 방향으로의 변용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Boyang and Yimok” of Samgukyusa shows four episodes of Buddhist Priest Boyang’s deeds, that are ‘Sea Dragon’s Palace, ‘Beginning of Jakgapsa’, ‘Yimok brings rain’, have been brought to attention in that they show a unique variation while succeeding various narrative traditions. The episode of Sea Dragon’s Palace succeeds the old tradition of Buddhist storytelling that is rooted in the episode of Buddha’s visit to ‘Sea Dragon’s Palace and it presents the motif of sending Sea Dragon’s son to serve a buddhist priest. It also shows a unique variation that cannot be found in previous narratives by placing the episode at the beginning of the story and telling the whole story by the Sea Dragon. Though the motif of sending Dragon’s son is briefly mentioned in the motif of sending the eldest son of Taewhaji’s Dragon as Guard Dragon of Hwangryongsa, the main theme is realized in the Cheoyong Tale. The former functions as a national guard dragon, while the latter plays a role of popular god who defend them from evils through rituals. It is similar to the role of Yimok as a practical god who rains for the people. Both of them also show considerable similarities in narrative levels. The reason why we should give attention to the motif of sending sea dragon’s son is that it sheds some light not only to the tale of “Boyang and Yimok” that is transmitted orally around Unmoonsa but also to Samgukyusa. The tale of Samgukyusa treats the Yimok and pear tree as the same, while the oral tale tells the story of move of Yimok who leaves Boyang. Yimok became people’s god in the oral tale and the object of rain ritual, while in Samgukyusa, he became identical with a pear tree and transformed to a door bar of a Buddhist temple hall, thus completely incorporated in the Buddhist worl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al tale and Samgukyusa stems from the different world views. The visit of a buddhist monk to sea dragon’s palace shows the process of eastward expansion of Buddist religion from china. The episode of sea dragon’s palace in “Boyang and Yimok” reflects cultural context of Unmoonsa area and succeeds the Buddhist narrative tradition through the motif of sending of sea dragon’s son. While the oral tale delineates the discontent against the Buddhist world view through the episode of move of Yimok, Samgukyusa attemps to incorporate and resolve the conflicts between the indigenous and buddhist beliefs through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of Yimok and pear tree. Ilyeon seems to attempt to reflect the cultural context of the area in order to realize this world view in his narrative by succeeding both Buddhist tradition and various forms of popular narrative tradition

목차

1. 머리말
2. <보양이목>의 서술구조와 용궁삽화 위상
3. 용궁삽화와 불교서사전통의 수용 및 변용
4. 용자파견 화소의 계승과 변이
5. 마무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진옥(Kang Jin ok). (2016).『삼국유사』 <보양이목>조 용궁삽화와 용자파견(龍子派遣)화소의 서사적 실현과정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34 , 5-42

MLA

강진옥(Kang Jin ok). "『삼국유사』 <보양이목>조 용궁삽화와 용자파견(龍子派遣)화소의 서사적 실현과정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34.(2016): 5-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