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집단 내 개인의 비유사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56

영문명
Is Dissimilarity Always Detrimental? A Meta-Analytic Test of the Effects of Relational Demography on Job Performance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유이정(Yee Jeong Ryou) 노현탁(Hyun Tak Roh)
간행물 정보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24권 제3호, 69~10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 내 비유사성과 개인의 직무성과 간 불명확한 관계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유사성의 유형을 나누고(사회범주 비유사성, 정보 비유사성) 각 유형의 비유사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는데, 이를 통해 그동안 간과되어온 비유사성의 긍정적 영향력에 대한 설명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비유사성과 직무성과 간 관계를 보다 입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과업특성(상호의존성, 불확실성, 자율성)이 어떻게 비유사성과 직무성과 간 관계를 조절(강화 또는 약화)하는지도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서 1984년부터 2016년 1월 사이 출간된 연구들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40개의 실증연구(141개의 효과크기)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사회범주 비유사성은 직무성과에 부정적 영향(r = -.01, p < .01)을, 정보 비유사성은 긍정적 영향(r = .04, p < .001)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업특성이 갖는 조절효과는 비유사성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정보 비유사성의 경우 상호의존적이거나 불확실성이 큰 과업상황에서 직무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약화된 반면(과업 상호의존성: β = -.00, p < .001; 과업 불확실성: β = -.02, p < .001), 과업자율성이 큰 상황에서는 긍정적 연계성이 강화되었다(β = .01, p < .01). 이와 달리 과업특성은 사회범주 비유사성과 직무성과 간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집단 내비유사성의 혼재된 영향력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적 가능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을 것이고, 기업의 인력관리 측면에서 실무적인 시사점 또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Relational demography research remains unclear as to what extent, and as to when and how, workforce diversity at the relational level (i.e., dissimilarity) affects work-related outcomes at the individual level (Riordan, 2000). Answers to these questions are important as they may complement our understanding on how to manage diverse employees in organizations. In light of this, this study aimed to explain the mixed and inconclusiv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demography and individual job performance. We extend existing research in the following ways. First, we distinguished the types of dissimilarity (social category dissimilarity, informational dissimilarity) and predicted differential effects on individual job performance. Secon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ask characteristics (i.e., interdependence, uncertainty, autonomy) moderate these relationships.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performed a meta-analysis using 141 effect sizes from 40 studies conducted during 1984-2016.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category dissimilar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job performance, while informational dissimilarity was positively related.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the positive effects of informational dissimilarity became stronger when one’s task is autonomous. Contrary to our hypotheses, however, the positive effects of informational dissimilarity became weaker when one’s task is interdependent or uncertain. The effects of social category dissimilarity on job performance were always negative regardless of task characteristics.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이정(Yee Jeong Ryou),노현탁(Hyun Tak Roh). (2016).집단 내 개인의 비유사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24 (3), 69-100

MLA

유이정(Yee Jeong Ryou),노현탁(Hyun Tak Roh). "집단 내 개인의 비유사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24.3(2016): 69-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