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구소한도(九九消寒圖)」의 성격과 의미

이용수 96

영문명
Characters and Meanings on the Painting for Cold Diminution, Gugusohwan-do −Based on the Collection of the Woodblock Prints Museum in the Myungjusa Temple−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장장식(Jang, Jang-sik) 정부용(Jeong, Bu-y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33권, 97~145쪽, 전체 4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0
8,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지로부터 9일을 단위로 하여 9번 반복되어 봄이 온다는 뜻을 가진 구구소한도는 시간을 9일 단위로 셈하는 북방의 민속에서 비롯되었다. 이른바 수구(數九)풍속인데, 19에서 시작하여 99로 마무리된다. 이를 반영한 노래가 구구가(九九歌), 구구소한가(九九消寒歌)이다. 구구가는 민간주도로 하북, 절강, 북경 등 여러 지역에서 당송 이전에 이미 유행되었고, 지역에 따라 생태환경과 기후에 따라 노랫말의 내용이 바뀐다. 구구가의 구조와 내용 면에서 북방 유목민의 수리 체계와 기 상현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북방민속에서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구구가는 명청대를 거치면서 화구(畵九)와 사구(寫九) 풍속으로 발전하여 구구소한도(九九消寒圖)를 낳는다. 구구소한도는 화구 방식의 매화 구구소한도와 도표 구구소한도 및 사구 방식의 문자 구구소한도로 나뉜다. 이와는 달리 다양한 시 문학적인 형태로 확장한다. 이외에도 도판의 형식을 변화시켜 다채로운 형태로 발전시키고 있다. 구구소한도는 절기와 역법, 지리와 사물에 대한 정신감정을 융합한 민속지식(folk-knowledge)의 시각적 문화매체이다. 비록 호사적인 유희에서 출발했지만 분명한 것은 태양력에 기반한 동지를 기점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단순한 수리법에 의한 계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구소한도는 시간학의 역일(曆日) 관점에서 수행된 시간풍속이자 세시민속이고, 자연의 물후와 기상을 담아내고자 한 기상 민속이다. 세시적인 주술성과 유희성을 반영하고 있지만 실제의 경험과 해석을 통해 기후를 예측하는 한편 이와 관련된 점복 행위로 대응된다. 구구소한도는 이런차원에서 운용되었고, 이를 위해서 판화를 제작하고 다량의 인출본을 만들어 유통되었다. 구구소한도가 상업적으로 유통되었다는 것은 동지 민속으로서의 연화(年畵)의 성격을 지녔기 때문이다. 인간의 원망(願望)을 달성하고자 하는 행위론적 측면에서 운용된 구구소한도는 신분의 귀천을 가리지 않고 향유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궁중에서 민간까지 두루 공유한 세시풍속의 하나로 존재했고, 일부이지만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시간 개념과 기상 측면의 복합적 민속 지식을 구현하고 있는 ‘화신풍(花信風)’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는 차후의 비교 과제로 남긴다.

영문 초록

The painting for cold diminution, gugusohwan-do originated from the folk custom of the northern Asia that represents eighty one days which nine days as a unit repeat nine times from dongji(winter solstice). People believed that spring comes after passing eighty one days. The custom called 'sugu' starts from 19 end in 99, which reflects on 'song of eighty one days, gugu-ga' and 'painting for cold diminution, gugusohwan-do'. The song was already popular among peoples in various areas before Tang(唐) and Song(宋) dynasties. In some places, the lyric of the song was modified pursuant to the climate condi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It has been presumed that it was passed down from the northen Asian custom in that the song reflected on the hydraulic system and climate condition of the northern nomads in its forms and contents. The song, gugu-ga, based on the 'sugu' custom, had developed into the 'hwagu, drawing the number nine, and the 'sagu', copying the number nine' throughout Ming and Qing(明淸) dynasties and had produced the painting, 'gugusohwan-do' later on. It can be categorized into the painting with Japanese apricot flowers, the chart pattern of painting and the number nine character style of the painting. In the other way, different types of poetry have evolved on the concept of nine times nine. Also, the form of printing has been varied with an arbitrary transforming. The painting is a visual culture medium of folk knowledge converged with the psychiatric evaluation on solar term, calendar, geography and object. Even though it began from the extravagance, it is basically based on dongji(winter solstice) of lunar calendar. The painting is not only for the way of counting number but also for seasonal custom reflecting the perspective of calendar and climate culture implicating nature meterological phenomena. It has effect on both seasonal magical and extravagance, which is correspondent to climate prediction based on experience and interpretation as well as augural practice. In this sense, the painting was used and circulated widely by manufacturing painting blocks. What it was commercially circulated means that it characterized as annual painting on dongji(winter solstice) custom. It was popularized regardless of status to achieve human wishes. Therefore, it still, although partially, continues as one of seasonal customs in both royal court and commoners.

목차

1. 머리말
2. 「구구소한도」의 개념과 성격
3. 명주사 고판화박물관 소장본 「구구소한도」의 내용
4.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장식(Jang, Jang-sik),정부용(Jeong, Bu-yong). (2016).「구구소한도(九九消寒圖)」의 성격과 의미.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33 , 97-145

MLA

장장식(Jang, Jang-sik),정부용(Jeong, Bu-yong). "「구구소한도(九九消寒圖)」의 성격과 의미."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33.(2016): 97-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