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녀의 내면 풍경을 엿보는 남성 문인의 시선

이용수 150

영문명
A male writer's betrayed: uncovering a ginyeo's inner life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김진균(Kim, Jin-kyu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33권, 67~9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옥(李鈺, 1760∼1815)의 「북관기야곡론(北關妓夜哭論)」과 변영만(卞榮晩,1889∼1954)의 「백운선(白雲仙)」은 당대 유명한 기녀의 일화를 다루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는 산문이다. 남성 문인으로서 여성, 그것도 기녀의 일화를 다루면서 내면 풍경에 진지하게 접근하려 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옥은 가련(可憐)이라는 기녀가 자신의 능력에 부합하는 미소년을 만나 정을 주려다가 좌절한 일화를 다루면서, 군신간의 의리와 같은 층위에서 해석해보려 하였다. 변영만은 백운선이라는 기생이 사랑의 도피 행각을 벌이려다가 좌절한 후일담을 다루면서, 절대적 사랑의 가치를 논해보려 하였다. 그러나 가련의 목소리를 전면에 내세워 서술을 이끌어가면서 「북관기야곡론」은 이옥의 의도에 배반하는 파편적 진실성을 노출하였다. 대상의 진정성을 찾아보려는 변영만의 문학적 태도 아래 「백운선」은 변영만의 의도에 어긋나는 상황을 고스란히 노출하였다. 전근대와 근대의 두 남성 문인이 기생의 욕망을 자신의 개념으로 포착하는 데에는 실패하였지만, 거기에서 기생의 내면 풍경을 진정성 있게 묘사하는 문학적 성취를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k Yi’s Buk-gwan-gi-ya-gok-ron (A treatise on a Gisaeng from Hamkyungdo lamenting in the middle of night) and Young-man Byeon’s Baek Wun-Seon both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deal with the episodes of well-known gisaengs’ lives in their contemporary era. It is notable that both of the works describe the stories of ginyeos from the perspective of a male writer, trying to gingerly get access to the interior or psychological scene of the feminine lives. Yi portrays a gisaeng named Ka-Ryeon who is full of confidence, only to face the frustrating situation in making her serious effort to have sex with a beautiful young man with whom she madly falls in love. With this story, the writer strives to explicate the implications of Ka-Ryeon’s desire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a king and his subject. Byeon recollects a story of a gisaeng named Baek Wun-Seon who seeks to run away abroad with her beloved man, but only to fail in the end. The writer’s primary concern with this episode lies in exploring an absolute value of love and passion. However, when Yi employs the narrative voice of Ka-Ryeon to lead the story in Buk-gwan-gi-ya-gok-ron, the strategic choice ironically betrays the author’s male-oriented perspective and discloses the rather natural scope of the gisaeng’s desire. In so doing, the text formulates fragmented and yet authentic quality of the female voice. The literary engagement of Byeon who is eager to uncover the authenticity of his literary object betrays his initial intention in Baek-Wun-Seon. By focusing on the psychological dimension of gisaengs’ lives, the two male writers initially intend to capture the heart of their feminine lives with their masculine voice. But the strategy is miscarried only to reveal the authenticity or rather genuine quality of ginyeos’ inner lives which often remain undisclosed in common literary discourse. It is notable how this whole process ironically exposes the full scope of gisaengs’ silenced voices in the early modern literary discourse.

목차

1. 머리말
2. 이옥에게서의 기녀의 내면 풍경 - 만남의 관념과 정욕의 일탈
3. 변영만에게서의 기생의 내면 풍경 - 사랑의 관념과 일상의 일탈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균(Kim, Jin-kyun). (2016).기녀의 내면 풍경을 엿보는 남성 문인의 시선.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33 , 67-95

MLA

김진균(Kim, Jin-kyun). "기녀의 내면 풍경을 엿보는 남성 문인의 시선."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33.(2016): 67-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