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막 초상화들》속의 지역사회 변혁과 중층적 영상 재현

이용수 47

영문명
The Transformation of Local Society and Its Thick Description in the Ethnographic Film, Pomak Portraits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조관연(Gwanyeon Cho)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발칸연구 제40권 2호, 77~9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가리아어를 사용하는 이슬람 신도인 포막은 다중 정체성을 가진 소수집단 이다. 이들의 정체성에 관한 논문들은 많지만, 학술적이고 미시적인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그려낸 영상물은 찾기 힘들다. 불가리아계 아센 발릭치는 오랜 기간 동안 캐나다 몬트리올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후진을 양성하였는데, 은퇴 후 자신의 정신적 고향인 불가리아에서 영상민족지 교육세미나를 개설한다. 이의 연장 선상에서 《포막 초상화들》이 제작되었는데, 이 시리즈는 여성의 시각에서 일상적인 삶의 모습을 그린 <브레즈니차의 여성들>과 한 노인의 시각에서 사회변동과 정체성의 문제를 다룬 <이브라힘 노인의 세계>로 구성되어있다. 《포막 초상화들》은 공산주의 통치가 붕괴한 후 사회적 소수자인 불가리아의 포막사람들이 겪는 문제들을 국가와 종교적 정체성, 종교적 싱크리티즘, 젠더, 종족성, 현대와 전통 그리고 세대 간의 갈등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이 영 화는 교육용 영상물 포맷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고등교육 기관에서의 학생 교 육뿐만 아니라 후속 비교연구를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다. 또한, 문화연구의 다성성과 중층성, 갈등과 타협 등을 이해할 수 있는 실증적 자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거시적이고 이론적인 연구를 보완할 수 있는 정보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이 글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인류학에서의 포막 연구 경향을 살펴보고, 영상민족지 측면에서 그 내용을 분석해서 학술적 의미를 새롭게 읽어내고자 한다. 또한, 이 영화가 가지는 한계와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서도 고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Muslim Pomak who speaks the Bulgarian language is a minority group which possesses multi-identity. Although there are numerous studies on their identity, there are few films portraying their society from academic, microscopic, holistic and thick perspectives. After retirement, Bulgarian Asen Balikci(1929~ ) opened educational seminars in this home country Bulgaria and produced ‘Pomak Portraits’ in that context. The work is composed of ‘The Women of Breznitsa’ which depicts daily routine lives from the eyes of women and ‘Old Ibrahim’s World’ which deals with social changes and issue of identity from the eyes of an old man. Balikci abandoned previous empirical approach in these films and produced ethnographic films by applying a new method of study on which discussions began in earnest after 1970s. Through this, he could capture polyphony, multi-identity and multi-locality of Pomak society which appeared after the collapse of socialism in the East Europe. The meeting between a new methodology of cultural study and ethnographic films is precious data not only for contents production but also for ensuing comparison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end of Pomak studies in anthropology relatively less known and interpret its academic meanings by analyzing the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 of ethnographic films.

목차

국문개요
1. 들어가는 말
2. 포막의 과거와 현재
3.《포막 초상화들》제작과정
4.《포막 초상화들》분석
5. 미디어 비평과 내용 비판
6.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관연(Gwanyeon Cho). (2016).《포막 초상화들》속의 지역사회 변혁과 중층적 영상 재현. 동유럽발칸연구, 40 (2), 77-99

MLA

조관연(Gwanyeon Cho). "《포막 초상화들》속의 지역사회 변혁과 중층적 영상 재현." 동유럽발칸연구, 40.2(2016): 77-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