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の節’에 관한 일고찰

이용수 44

영문명
A Study on the Usage of ‘NO(の)-Clause’: With Focus on the Modifying Expressions with Modificand Noun Contained in Modifying Clause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저자명
안선주(Ahn, Soun-ju)
간행물 정보
『일본연구』第25輯, 219~24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8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명사수식표현과 관련하여 종래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그럼에도 피수식명사가 수식절 안에 들어있는 (1)‘母がケーキを作ったのを一つ食べた’라든가 (2)‘朝から雨が降って いたのが、午後から雪になった’의 밑줄 부분 같은 수식표현에 관해서는 제대로 된 연구성과를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의 밑줄 친 の節에 관련하여 그 의미용법과 성립조건을 살펴보았다. の節에는 두 개의 구문이 인정되고 있는데, ‘ので’와 같은 순접의 접속조사나 연용중지법으로 두 문이 이어진 복문 ‘母がケーキを作ったので、それを一つ食べた’를 변환시킨 (1)과 같은 の節과, ‘が’와 같은 역접․대비의 접속조사로 묶인 복문 ‘朝から雨が降っていたが、午後から雪になった’를 바꾼 (2)와 같은 の節이 그것이다. 또한 이들 문은 각각 ‘母が作ったケーキを一つ食べた’와 ‘朝から降っていた雨が午後から雪になった’와 같은 관계절로도 변환이 가능하다. 이렇게 같은 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여러 표현이 있는 중에 の節이 쓰이는 것은, 접속조사가 쓰인 복문의 딱딱하고 단조로운 느낌이나 관계절의 장황한 수식을 피하고 거기에 현장감을 더하기 위해서이며, 회화체나 여러 장르의 문장에서 쓰이고 있다. 이와 같이 の節은 복문 및 관계절과 관련을 가지지만, 그렇다고 모든 관계절이 の節로 변환 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の節이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지 그성립조건을 살펴보고자 KOTONOHA「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少納言을 활용하여 수식절의 텐스, の로 대용되는 피수식명사의 요건, の節의 격관계, 주절의 술어종류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수식절에는 동작동사의 タ形이 주로 쓰이지만, 상태․존재동사의 ル形이 쓰이거나 술어가 テアル/テイル일 경우라면 ル形․タ形이 모두 쓰이는 일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の節이 이미 일어난 사태의 묘사에 적합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도 쓰인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리고 수식절 안에 ヲ格명사구가 없으면 주체의 ガ格명사구가 の로 대용되는 피수식명사가 되고 ヲ格명사구가 있으면 그 ヲ格명사구가 피수식명사가 된다. 즉 (1)에서의 の는 ‘ケーキ(を)’의 대용이고, (2)에서는 ‘雨(が)’ 가 の로 대용되는 명사가 되는 것이다. ヲ格명사구가 있음에도 다른 격의 명사구가 の로 대용되는 경우가 어쩌다 있기도 하지만, 이들도 궁극적으로는 ヲ格에 준하는 ‘대상’에 해당하는 것들에 한한다. 주절 속에서 の節은 ガ格 혹은 ヲ格의 기능을 담당하는데, 순접의 の節은 주절에서 대부분 ヲ格의 역할을 하는 반면, 역접․대비의 の節은 ヲ格보다 ガ格으로 쓰이는 일이 많다. 마지막으로 주절의 술어를 보면, 순접의 の節의 경우 대체적으로 구체적인 동작의 타동사가 오는데 비해, 역접․대비의 の節은 수식절의 술어와 대비되는 술어가 오고 특히 ガ格의 경우 수치를 대비시키는 경우에 주로 쓰인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영문 초록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on noun modifying expressions conducted in the recent years. Yet, it is quite difficult to find a decent one on the modifying expressions as can be found in the two following sentences with the modificand contained in the modifying clause: (1)‘母がケーキを作ったの を一つ食べた’, (2)‘朝から雨が降っていたのが、午後から雪になった’. This paper is dedicated to concentrate on the usage and conditions of the NO(の)-clause in the two subordinate clauses. NO-clause allows two constructions to be accepted: NO-clause in (1) has transformed the complex sentence ‘母がケーキを作ったので、それを一つ食べた’ in which the conjunctive postposition, ‘NODE(ので)’, or MASU(ます)-Form conjoins the two clauses. Similarly, NO-clause in (2) has transformed the complex sentence ‘朝から雨が降っていたが、午後から雪になった’ which consists of two clauses conjoined through the use of the contrastive connective, ‘GA (が)’. Also, these two sentences can each be transformed into relative clauses: ‘母が作ったケーキを一つ食べた’ and ‘朝から降っていた雨が午後から雪になった’. The possible reason for the frequent use of NO-clause within conversations and other types of sentences among various expressions that can deliver the context, therefore, is because it eschews the dull nature of complex sentence containing syndetic postpositions and the lengthy modification of relative clauses, while adding vividness. As examined above, NO-clause is related to both relative clause and complex sentence. However, it must be noted that not every relative clause can be transformed into NO-clause. In this paper, the structure and the condition of NO-clause is closely examined; the tense of modifying clause, the conditions of modificand noun that can be replaced by NO(の), the case relation of NO-clause, and the types of predicate found in the independent clause are analyzed, referencing KOTONOHA「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 少納言. The conclusion can be summed up as below. While non past tense of action verb is commonly used in modifying clauses, it is reasonable to infer that non past tense of state/substantive verb can also be used. In cases of the predicate being TEARU/TEIRU(テアル/テイル), both non past tense․past tense can be used. This clearly suggests that NO-clause is appropriate to be used to describe a situation that has already happened, and that in some cases, it can also describe the present. If noun phrase objective O(ヲ) is absent in the modifying clause, noun phrase subjective GA(ガ) becomes the modificand noun replaced by NO in the main clause. If the noun phrase objective O is present, that objective O becomes the modificand noun. That is, NO in (1) replaces ‘ケーキ(を)’, while in (2), it is ‘雨(が)’ that is replaced by NO. Occasionally, some other cases of noun phrases are replaced by NO even when the noun phrase objective O is present. However, this ultimately applies merely to those that conform to the noun phrase objective O. NO-clause in the main clause plays the role of either objective O or subjective GA; non-contrasting conjunctive NO-clause functions as objective O in the main clause, while contrasting conjunctive NO-clause frequently functions as subjective GA rather than objective O. Lastly, examining the predicate in the main clause, it can be inferred that contrasting conjunctive NO-clause is often used when there is a predicate that contrasts with that of the modifying clause, unlike non-contrasting conjunctive NO-clause which is normally used with transitive verbs of specific action. Especially for subjective GA, it is commonly used when numerical contrast takes place.

목차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
Ⅲ. 의미용법
Ⅳ. 성립조건
1. 수식절의 텐스
2. の로 대용되는 피수식명사의 요건
3. の節의 격관계
4. 주절의 술어종류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선주(Ahn, Soun-ju). (2016).‘の節’에 관한 일고찰. 일본연구, 25 , 219-241

MLA

안선주(Ahn, Soun-ju). "‘の節’에 관한 일고찰." 일본연구, 25.(2016): 219-2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