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판 영유아 언어 및 의사소통 선별검사(Korean Snapshot: K-SNAP)의 타당도 및 신뢰도

이용수 1530

영문명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evelopmental Snapshot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배소영(So yeong Pae) 윤효진(Hyo jin Yoon) 설아영(Ah young Seol) Jill Gilkerson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3, 355~363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영유아 시기 언어발달 고위험군의 조기 선별과 지원이 필요하다. 언어발달 추적을 위해 한국의 언어 및 문화를 고려하여 개발한 Korean SNAP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52문항의 회고형 설문 LENA Developmental Snapshot을 한국어 발달에 맞게 번안하고 수정한 후 타당도와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1,515명의 자료를 토대로 발달적 타당성과 다른 언어 선별검사와의 상관을 보았다. 일부 아동에게 발달검사 및 발화자료를 수집한 후 상관을 살폈다. 신뢰도는 문항의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 11개 월령집단 중 9개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발달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K M-B CDI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언어선별도구로써의 타당성이 있었다. Korean Bayley II의 인지 및 동작 검사결과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아동의 발화 분석 결과와도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문항의 내적일치도는 Cronbach 알파가 .972로 매우 높은 편이다. 119명에 대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42로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한국어판 K-SNAP은 어휘중심의 K M-B CDI를 보완하고, 8문항으로 영유아 검진에서 사용하는 K-DST 언어 영역과 연계하여 발달을 추적 관찰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검사도구의 민감도와 특이도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or children who are at risk of language delay. This study explore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Developmental Snapshot (K-SNAP) which can be used effectively as a screening and monitoring tool of early language development. Methods: The 52-item questionnaire of the developmental snapshot was adapted into Korean by substituting 10 items. To es-tablish the developmental validity of the K-SNAP,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3-month age intervals were measured in 1,515 children age 4 months to 36 months. To identify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K-SNAP, the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was us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K M-B CDI), 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II (Korean Bayley II), and spontaneous speech data. The internal consistency of items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calculated. Results: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every 3-month interval on the K-SNAP were clearly evid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K-SNAP scores and K M-B CDI scores. Korean Bayley II and spontaneous utterance data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K-SNAP score. Items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sults were highly correlated. Conclusion: K-SNAP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tool to screen and moni-tor early language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in conjunction with the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and Children (K-DST) and K M-B CDI.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ai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K-SNAP.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소영(So yeong Pae),윤효진(Hyo jin Yoon),설아영(Ah young Seol),Jill Gilkerson. (2015).한국어판 영유아 언어 및 의사소통 선별검사(Korean Snapshot: K-SNAP)의 타당도 및 신뢰도.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 (3), 355-363

MLA

배소영(So yeong Pae),윤효진(Hyo jin Yoon),설아영(Ah young Seol),Jill Gilkerson. "한국어판 영유아 언어 및 의사소통 선별검사(Korean Snapshot: K-SNAP)의 타당도 및 신뢰도."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3(2015): 355-3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