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셀프리더십 연구동향과 과제

이용수 6238

영문명
Self-Leadership in Korea: Review and Theoretical Implication
발행기관
리더십학회
저자명
김군홍(Kun-Hong Kim) 김정훈(Jung-Hoon Kim)
간행물 정보
『리더십연구』제6권 제1호, 77~9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내 경영학 분야 학술지에 게재된 셀프리더십 관련 연구 논문 28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ㆍ정리하였다. 우선적으로 일반 현황에 대하여 분석을 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연도별 특성 및 분석 대상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방법에 대하여 분석을 하였다. 즉, 연구의 유형, 자료 수집방법, 측정도구 현황, 그리고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끝으로 셀프 리더십에 대한 지금까지 실증분석을 연구결과를 토대로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에 대해서 살펴보면, 셀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조직문화 그리고 조직후원인식과 같은 조직차원요인, 수퍼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후원적 리더십 그리고 LMX의 질 등의 상사의 리더십 특성, 그리고 개인과 직무특성 요인으로 성취 욕구, 심리적 자본, 주도적 성격, Big5 성격요인, 통제위치, 핵심자기평가, 직무 자율성과 직무 도전성 등의 변수들이 고려 되어 연구되었다. 결과변수로는 구성원의 태도나 행동, 직무성과, 서비스지향성, 창의성, 스트레스 등이 활용되었다. 셀프리더십과 결과변수 간의 매개효과 검증은 상사 신뢰, 자 기효능감, 심리적 임파워먼트, 내재적 동기, 내재적 보상, 서비스회복 노력과 같은 개인의 심리관련 변수들이 많았다. 실증분석에 따른 제한점을 정리하여 보면, 횡단적 연구의 한계, 동일방법편의의 문제, 그리고 설문지를 활용한 연구방법 등이 연구의 한계로 제시되 었다. 향후 연구의 방향으로는 국내 실정에 맞는 측정도구의 개발과 셀프리더십과 관련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의 입증이 제시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reviews and evaluates 28 articles on self-leadership in Korea and summarizes findings. Sources include academic journal in business management. Following analyses of description, research method and empirical result, the study give implications and propose a future direction for self-leadership. Major antecedents of self-leadership include organizational culture, perception organization support, super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upportive-leadership, LMX and etc. As performance of self-leadership, attitude or behavior of employee, job performance, service orientation, creativity, stress and so on. have been studied. Studies on test of mediating effects between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have focused on variables in terms of individuals' psychology such as supervisory trust, self-efficacy, psychological empowerment, motivation, rewards and so on.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is paper, we suggest that various research methods be needed to overcome limits of the cross-sectional study and common method bias. And measurement development for local studies is also to be conducted in a near future. Futhermore, we identified that there have not been studies investigating moderating variabl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associate variables and suggested future studies in that field. This study has a meaningfully signification in terms of a methodical arrangement in the filed of leadership in S. Korea. to suggest a comprehensive direction of the future studies to researchers. However, There are also limits of generalization because local academic journals had only been used in this study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naturally has a limitation compared with quantitative one.

목차

I. 서 론
II. 분석 결과
III.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군홍(Kun-Hong Kim),김정훈(Jung-Hoon Kim). (2015).셀프리더십 연구동향과 과제. 리더십연구, 6 (1), 77-98

MLA

김군홍(Kun-Hong Kim),김정훈(Jung-Hoon Kim). "셀프리더십 연구동향과 과제." 리더십연구, 6.1(2015): 77-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