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조직사회의 세대별 리더십 인식과 수용의 차이에 대한 단상

이용수 1683

영문명
Research Note: Generational Differences among Korean Workers in Leader Acceptance
발행기관
리더십학회
저자명
김나정(Najung Kim)
간행물 정보
『리더십연구』제5권 제3호, 5~2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 한국 조직사회는 경제부흥기세대, 민주화세대, 자율화세대, W세대 등 다양한 세 대의 조직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연공서열이 강조되는 한국의 다세대 조직환경에서 세대갈 등은 관리를 하는 자와 관리를 받는 자 간의 갈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리더의 위치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사람과 추종자의 위치에서 그 리더십을 수용하는 역할 관계 속에서 세 대간 가치 차이가 발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단상은 이와 같은 현상에 초점을 맞춰 각 세 대가 추구하는 가치를 사회학 연구들과 심리학 연구들을 바탕으로 정리하고 이 가치가 조직사회에서 어떻게 나타날 것인지에 대해 살펴본다. 조직사회에서 세대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맥락 중의 하나는 상사와 부하간의 관계와 서로가 가지고 있는 다른 주체에 대한 평가가 될 수 있다. 경제부흥기세대는 다른 세 대와 비교할 때 조직과 상사에 대해 존경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반면에, 다른 세대는 합리 적이고 이성적인 판단에 근거하여 자신과 조직, 자신과 상사의 관계를 재정립하려는 태도 를 보이는 경향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혁적 리더십이 보이는 상사의 범상치 않고 설명하기 어려운 특성을 나타나내는 카리스마, 부하들의 도전성을 유발하는 지적자극, 또한 개인에 대한 차별적인 대우를 보이는 개별적 관심에 대해서도 세대별로 상이한 태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세대가 변혁적 리더십에 대해 어떠한 반응 을 보일지에 대해 고찰해본다. 이 글은 한국의 세대구분과 리더십 간의 관계를 조명해본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또한 기존의 인사조직 연구에서 주로 사용하는 20대, 30대, 40대 등 10년 단위로 짜여있는 인생의 주기로서의 세대 개념에서 벗어나 중요한 역사적 경험을 중심으로 분류한 세대 개념을 적용했다는 시사점을 갖고 있다.

영문 초록

Contemporary Korean workforce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four generations: Economic boomers, Democratizationers, Economic liberalizationers, Generation W. Because Korean organizational culture highly values seniority and hierarchy, generational conflicts can often be pres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 leader and a follower. Any discrepancy between a leader’s role identity and a follower’s expectation about what leaders should do can turn into a generational conflict. In this research note, I explore possibl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leader acceptance in Korean organizational contexts. Specifically, based on the review of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generations in Korea, I propose that the degree to which an individual accepts each of a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is dependent upon which generation this individual belongs to. This research note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generation. Further, this note goes beyond the conventional approach on generations as life stages and employs Mannheim’s notion of generation as birth cohort who experienced similar historical events and share similar values and beliefs.

목차

I. 서 론
II. 한국 사회의 세대구분과 세대별 가치
III. 변혁적 리더십 유형에 대한 세대별 수용도
I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나정(Najung Kim). (2014).한국 조직사회의 세대별 리더십 인식과 수용의 차이에 대한 단상. 리더십연구, 5 (3), 5-24

MLA

김나정(Najung Kim). "한국 조직사회의 세대별 리더십 인식과 수용의 차이에 대한 단상." 리더십연구, 5.3(2014): 5-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