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적 리더십 교육 모형의 타당성 검증

이용수 828

영문명
Validating A Creative Leadership Development Model
발행기관
리더십학회
저자명
최윤주(Yun-ju Choi)
간행물 정보
『리더십연구』제5권 제3호, 63~9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창의적 리더십 향상을 위한 교육모형을 개발하 =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창의적 리더십의 영향 변인인 조직분위기와 개인학습 역량(인지․정서)간의 구조관계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창의적 리더십 교육모형을 개발 하였다. 이와 같은 창의적 리더십 교육모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서 2차에 걸친 델파 이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평생교육 기관과 기업교육에 참여하는 서울, 경기 지역 35세 이상의 성인학습자 78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변수들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한 설문도구들은 Ekvall(1996)의 조직분위기 측정도구, 이경화 외(2011)의 개인학습역량 측정도구, 이경화 외(2010)의 창의적 리더십 측정도구 등이다. 모델의 잠 재변인들 간의 구조 관계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 18.0과 AMO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조직분위기와 성인학습자의 개인학습역량(인지, 정의)은 창의적 리더십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능력이 가장 중요한 교육내용은 인지적 학습역량의 문제해결 요인에 해당되는 독창성, 유창성, 융통성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창의적 리더십개발과정에서는 조직분위기와 개인학습역량(인지, 정의)을 선행요인으로 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사고 기법, 동기유발 전략이라는 교육내용이 적합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문제 해결을 위해서 팀 이 구성되고 해체되는 방식의 창의적 리더십 교육모형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것은 수평적 관점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어야 한 다는 함의를 담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educational model which enables the improvement of creative leadership for adult learners. For this purpose, a creative leadership development model has been developed based on factors that affect the creative leadership, such as organizational climate and individual learning competency(cognition, affection). Seven hundred and eighty eight adult learners at the age of 35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life-long learning institutes or corporate training centers in Seoul and Gyounggi regions of Korea were subjects of this study. In this study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validate a structural equations model that contains variables of the creative leadership development model. Measurements of core variables of the study were utilized from standardized instruments. Specifically, organizational climate was employed from Ekvall (1996), individual learning competency from Lee(2011), and creative leadership from Lee(2010). In order to validate the model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otential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statistical softwar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organizational climate and individual learning competency (cognition, affection) of adult learner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ver the creative leadership.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content to enhance creative competency was originality, fluency, and flexibility that partly constitute problem-solving techniques of cognitive learning.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s in that the creative leadership education could be developed as a part of lifelong education and corporate management training based on the model validated here that includes organizational climate and individual learning competency (cognition, affection) of adult learners.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a development technique where teams are composed and disbanded for problem-solving be an effective method to develop creative leadership. Other implications of the study have also been discussed including the necessity of a new paradigm in developing creative leadership.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윤주(Yun-ju Choi). (2014).창의적 리더십 교육 모형의 타당성 검증. 리더십연구, 5 (3), 63-94

MLA

최윤주(Yun-ju Choi). "창의적 리더십 교육 모형의 타당성 검증." 리더십연구, 5.3(2014): 63-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