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갱생보호시설 생활관 입소 출소자를 위한 해결중심 단기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404

영문명
A Case Study on Solution-oriented Short-term Treatment for Released Prisoners Admitted to Residential Recovery and Protection Centers
발행기관
한국교정복지학회
저자명
조희원(Cho Hee won) 도광조(Do Gwang jo)
간행물 정보
『교정복지연구』矯正福祉硏究 第37號, 141~17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갈 곳이 없는 출소자들에게 선택의 여지는 그리 많지 않다. 재범을 하게 되어 교정기관에 다시 발을 들일 수도 있으나 다행스럽게 가족과의 관계개선으로 가족의 품에서 생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어떠한 범주에도 속하지 못하여 갈곳이 마땅치 않은 출소자들의 경우 갱생보호시설에서 생활하게 된다. 갱생보호시설에 입소하는 출소자들은 다양한 삶의 경험과 높은 자립의지 등 스스로의 내적자원(강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자원화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들은 입소할 당시에는 자립의지가 분명하나 초심을 잃고 좌절을 하거나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여 갈등을 겪고 갈 곳 없이 퇴소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사례연구에서 적용한 해결중심 모델의 유용성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출소자들에게 내재되어 있는 분노의 이면에 대하여 긍정적인 측면을 일깨워주어서 분노의 양면성과 그 근원을 바라 볼 수 있도록 인식을 전환시켜 줄 수 있었다. 둘째, 클라이언트의 인식은 클라이언트의 내적자원(강점)에 대한 증거로써 클라이언트의 준거 틀 내에서 출소자와 갈등관계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불평과 감정을 들어주고 인정함으로써 출소자의 저항을 제거할 수 있었다. 셋째, 해결중심접근법은 문제보다 해결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사례의 출소자와 가족구성원과의 갈등관계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해결 지향적 상담을 진행함으로써 출소자 개인의 입장과 주변에 대한 체면 등을 충분히 인정ㆍ존중 할 수 있었다. 넷째, 갈등관계를 해소하기 위한 행동과제를 초기에 이행함으로써 즉각적 해결방안을 원하는 내담자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었으며, 이는 내담자의 지속적 관심을 유도하여 적극적으로 상담에 임하게 할 수 있었다. 다섯째, 질문이 일상 속의 일이고 내담자가 스스로에 대한 전문가로서의 구체적인 행동을 스스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담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출소경력을 가진 내담자의 잠재능력을 확인하고 활용 할 수 있었다. 이번 사례는 총 6회의 상담을 실시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내담자의 긍정적인 인식으로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갱생보호시설에 입소한 출소자에게 지속적인 칭찬과 지지를 통해 자신이 존중받고 있다는 것을 경험하도록 함으로써 동료와의 갈등이나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었다. 이에 근거하여 갱생보호시설생활에 적응력을 높이는데 해결중심 단기치료는 유용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이번 사례연구는 비교적 단기간에 나타났던 문제들이 해결되었거나 상당부분 개선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즉, 출소자가 갱생보호시설에서 생활하는 동안 스트레스로 여겼던 동료와의 갈등관계 및 가족과의 관계개선을 위한 영역에 있어 스스로 마음을 정리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갱생보호생활관 직원들과 출소자들의 관계에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직원들의 상담 기법으로써 해결중심단기치료기법의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생활관 직원들은 이러한 치료기법을 숙지하여 출소자의 생활지도를 하는 과정에서 상담자 중심의 지시적 입장의 접근보다는 내담자 중심의 비지시적 접근법을 지향하여 생활관에 생활하는 출소자들의 멘토링 및 사후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연구에서 표본 확보 어려움에 따른 일반화의 한계가 있었는데, 갱생보호생활관에서 생활하는 출소자들의 경우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고, 생계의 문제, 환경의 어려움 등으로 연구를 위한 동의가 수월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로 인해 부득이하게 1명의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임으로 일반화 가능성의 한계가 있다.

영문 초록

For released prisoners who do not have a place to go, there are not many options available. They may commit a crime again and go back to a correctional institution, or improve their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and live with them, or as in many cases of released prisoners, live in a recovery and protection facility. Released prisoners admitted to a recovery and protection facility already have various life experiences and own resources such as a high sense of self -reliance, but they often fail to utilize the resources. Released prisoners living in a recovery and protection facility have a clear sense of self-reliance when they are admitted to the facility but many of them lose the sense and are frustrated, experience conflicts as they fail to control anger, and after all, leave the facility without a place to go. With regard to this problem, the usefulness of the solution-oriented model applied in this case study can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 the model spotlighted the positive aspect behind anger that released prisoners had so that they could see the ambivalence of anger and look into the root of anger. Second, a client's perception was evidence of his/her internal resource (emotion), and we could remove the released prisoner's resistance by listening to his complaints and feelings about those who were in a conflict relationship with him within the frame of reference. Third, because the solution-oriented approach focused on solutions rather than on problems, it did not concentrate on the problem of conflict relationship between a released prisoner and his family members, but conducted solution-oriented counseling with sufficiently acknowledging and respecting the released prisoner's personal position and his dignity among people around. Fourth, by carrying out behavioral tasks to resolve conflict relationship in the early stage, the approach met the client's expectation of immediate resolution, and this induced the client's continuous interest and active attitude toward counseling. Fifth, because questions were about daily things and the client could determine specific behaviors by himself as an expert about himself, he participated in counseling actively and his potential abilities could be identified and utilized in the process. In this case study, counseling was conducted six times, and it achieved a positive change in the client's perception. By giving continuous praise and support to released prisoners admitted to a recovery and protection facility so that they would experience being respected, we could ease their conflicts with colleagues and stress. Accordingly, solution-oriented short-term treatment is believed to be useful in enhancing released prisoners' adaptability to life in a recovery and protection facilit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solution-oriented short-term treatment as a counseling method that the staff of residential recovery and protection centers can use for preventing problems arising from their relationship with released prisoners. The staffers need to practice the method and to make a client-centered non -directive approach rather than a counselor-centered directive approach in conducting mentoring and follow-up management for released prisoner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According to this case study, problems arising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were solved or mitigated markedly. That is, the approach was useful for released prisoners to put their thoughts in order by correcting their conflict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and improving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which were sources of stress while living in a recovery and protection facility. However, as released prisoners who were exposed to various types of stressors in residential recovery and protection centers did not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just one case and therefore its findings have a limitation in being generalized.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상담사례의 실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희원(Cho Hee won),도광조(Do Gwang jo). (2015).갱생보호시설 생활관 입소 출소자를 위한 해결중심 단기치료 사례연구. 교정복지연구, (37), 141-170

MLA

조희원(Cho Hee won),도광조(Do Gwang jo). "갱생보호시설 생활관 입소 출소자를 위한 해결중심 단기치료 사례연구." 교정복지연구, .37(2015): 141-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