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족구조에 따른 중년기 건강행동의 성별 차이

이용수 702

영문명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tructure and Health-related Behaviors in Midlife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이은지 전혜정 Eun Jee Lee Hey Jung Jun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7집 2호, 157~179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중년기 가족구조와 건강행동 간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가족구성원의 존재가 사회적 통제(social control)의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 석에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의 1차(2006년) 년도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분석 대상은 45~64세인 중년기 남성 2,530명과 여성 2,953명이다. 종속변수인 건강행동으로는 규칙적 운동여부, 흡연여부, 음주태도의 세 가지 변수가 포함되었다. 독립변수인 가족구조는 혼인상태와 생존 자녀의 유무, 막내자녀의 연령을 이용하 여 6개의 형태로 나누어 더미변수로 분석에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사회인구학적 요인들과 건강관련 변수, 사회적 특성들을 통제하였다. 자료는 Mplus 7.3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고, 성별 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e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음주태도와 규칙적 운동여부가 가족구조와 관계가 있다는 유의미한 증 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흡연여부는 가족구조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성 은 배우자가 없을 경우, 여성은 자녀가 없을 경우 흡연을 할 확률이 증가하였다. 즉 중년기의 건강관련 행동들이 모두 가족구조와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가족의 존재가 일부 건 강위해행위를 억제하는 사회적 통제의 효과를 가지며, 이에 대한 성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중년기 건강관리를 위한 제도와 정책을 마련하는데 있어 개인이 속한 가족 의 구조와 성별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control over marital relationships and parenthood by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tructure in midlife and health-related behaviors and whether gender differences existed within this relationship. The first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conducted in 2006 was used for analysis. The experimental sample included 2,530 males and 2,953 females who were middle-aged, ranging from 45 to 64 years old. Three kinds of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included as dependent variables—regular exercise, smoking, and binge drinking. The independent variable, family structure, was categorized into six groups by marital status, parenthood, and age of the youngest child and was dummy cod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conditions, and social traits that were kn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controlled for higher reliability of the results. Logistic regression using Mplus 7.3 was utilized, and multi-group analyses were done in order to identify gender difference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evidence indicating that family structure was associated with regular exercise and binge drinking for both males and females. Smoking, however,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family structure; unmarried males and childless females were more likely to smoke. In other words, although family structure was not associated with all health-related behaviors, the presence of family members was found to have social control effects that restrained health-risk behaviors, and gender differences were shown to exist in the effec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both family structure and gender of t he middle-aged when establishing policies and plans for healthcare in midlif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지,전혜정,Eun Jee Lee,Hey Jung Jun. (2015).가족구조에 따른 중년기 건강행동의 성별 차이. 가족과 문화, 27 (2), 157-179

MLA

이은지,전혜정,Eun Jee Lee,Hey Jung Jun. "가족구조에 따른 중년기 건강행동의 성별 차이." 가족과 문화, 27.2(2015): 157-1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