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가족・여가활동 시간비율로 살펴본 맞벌이부부의 역할분배 유형과 유형별 일상정서경험

이용수 1345

영문명
A Typology of Dual-Earner Families using Work・Family・Leisure time ratio and the Differences in the Daily Emotional Experiences between Husbands and Wives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장미나 한경혜 Chang, Mina Han, Gyung-Hae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7집 2호, 98~12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부부의 일・가족・여가활동 시간의 구조적 차이를 근거로 하여, 부부의 역할분배방식을 유형화 하고, 각 유형별 부부의 일상정서경험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누구와 함께 있는 지로 구성되는 일상의 외적맥락과 그 순간의 느낌이나 생각을 나타내는 내적인 정서경험을 연계해서 살펴보는 경험표집법(ESM)을 활용하였다. 이는 부부들이 직면한 현실 상황에 밀착해서 행위자 스스로가 평가한 경험을 탐색하는 것으로 맞벌이부부의 일상생활을 살펴볼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경험표집법을 활용하여, 만 10세 이하의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 총 91쌍,182명 이 하루 6회 총 5일 동안 응답한 자료 5,147개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 모두 경제활동을 함에도 불구하고, 남편과 아내의 일・가족・여가활동 시간 구조는 어린 자녀를 키우는 맞벌이남녀의 불평등한 생활세계의 모습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었다. 둘째. 부부를 분석단위로 하여, 남편과 아내 각각의 시간비율을 기준변수로 하는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육중심형’ ‘여가몰입형’ ‘잠재적(양육자,부양자)역할 공유형’ ‘신전통형’의 4가지 역 할분배유형이 도출되었으며, 각 유형 집단은 막내자녀의 연령, 자녀수와 같은 가구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역할분배유형에 따라 맞벌이부부가 일상생활에서 느끼 는 긍정/부정정서 경험은 유형별로 그리고 젠더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이러 한 차이는 정서차원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 일상에서 느끼는 긍정정서경험은 부부의 역할 분배 방식에 따라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던 반면, 부정정서경험은 유형별 차이보다는 젠더차이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맞벌이가족이 가지는 다양한 삶의 모습과 경험을 구체적으로 논의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uster the typology of labor division that classified based upon the distribution of work, family and leisure time ratio of husbands and wives among dual-earner coupl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immediate emotional experiences between husbands and wives by the typology. In this study, ninety-one dual earner couples with young children under age 10 participated, and total 5,147 data were collected. It used Experience Sampling Method (ESM), which enables a researcher to assess how people spend their time in daily different settings such as spaces, activities and companions, and how they experience the different settings of their lives.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time pattern and the emotional experiences between husbands and wives. Second, dual-earner couples were clustered into 4 types of division of labor including ‘carer-centered couples’, ‘leisure-oriented couples’, ‘latent dual carer-earner couples’, and ‘modified male breadwinner couples’, based upon the distribution of work, family, and leisure time.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he 4 types according to household characteristics such as child age, the number of children. Third, the 4 types of division of labor were associated with daily emotional experiences. While positive daily emotional experiences vary depending on the 4 types, negative experiences vary depending on gend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of division of labor on dual-earner couples’ daily lives is discussed.

목차

Ⅰ. 문제제기
Ⅱ. 관련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미나,한경혜,Chang, Mina,Han, Gyung-Hae. (2015).일・가족・여가활동 시간비율로 살펴본 맞벌이부부의 역할분배 유형과 유형별 일상정서경험. 가족과 문화, 27 (2), 98-129

MLA

장미나,한경혜,Chang, Mina,Han, Gyung-Hae. "일・가족・여가활동 시간비율로 살펴본 맞벌이부부의 역할분배 유형과 유형별 일상정서경험." 가족과 문화, 27.2(2015): 98-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