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사체험(近死體驗) 연구

이용수 232

영문명
A Study on Near Death Experience
발행기관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저자명
남정률 Nam, Jong Yul
간행물 정보
『인격주의 생명윤리』4권 1호, 109~158쪽, 전체 4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1.30
8,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사체험은 사고나 질병으로 임상적으로 사망 진단을 받았거나 죽음의 문턱에까지 이르렀다가 의식을 회복한 사람이 그 사이에 겪은 체험이다. 본 논문은 1970년대 들어 미국을 중심으로 본격화된 근사체험 연구의 간략한 발자취를 짚고 사례와 연구 현황을 국내외로 나눠 고찰했다. 근사체험은 주로 체외이탈, 터널 체험, 빛의 존재 만남, 장벽 앞에 섬 , 몸으로 귀환 등으로 이뤄진다. 체험자 각자 상황에 따라 조금 씩 다르기는 하지만 체험 내용은 매우 흡사하다. 논문은 근사체험을 하나의 심리적 현상으로 이해하는 뇌내(腦內) 현상설과, 실제 체험으로 인정하는 뇌외(腦外) 현상설로 구분하고 각 각의 주장을 살펴 봤다. 이어 근사체험의 특성 가운데 하나인 체외이탈 체험을 뇌외 현상설을 지지하는 유력한 근거로 보고 체외이탈 사례를 소개했다. 결론적으로 뇌내 현상설과 뇌외 현상설은 유물론적환 원론과 비환원론의 대립으로 귀결됨을 확인했다. 아울러 논문은 근사체험과 종교체험은 그 체험을 언어로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인식의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이성적 추론이 아닌 직관적 체험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는 것을 밝혔다. 두 체험은 또 체험자가 사랑의 속성을 지닌 빛의 존재를 만나 정신적· 도덕적으로 성숙해지는 등 체험 내용과 영향 또한 비슷하다는 것도 짚었다. 근사체험은 그것을 믿는 사람에게는 증거가 충분한 반면 안 믿는 사람에게는 항상 불충분한 것이다. 그럼에도 근사체험, 특히 체외이탈은 인간이 죽은 뒤에도 정신적 존재로 남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영문 초록

The Near Death Experience (NDE) is what people experience during their clinically diagnosed death or life-threatening coma due to an accident or an illness. In this thesis, I summarize the history of NDE studies which was activated in U.S.A. since 1970’s, and then search for case studies and research activities both at home and abroad. The NDE usually consists of attributions such as out-of-body experience, tunnel experience, encounter with a ‘being of light’, standing in front of a wall and returning to their body. Even though there are a bit of differences among them according to each person’s unique circumstance, they loo k very similar as a whole. Here I investigate two different theories explaining the NDE. One is Inside-brain P henomenon in which the NDE is understood as a psychological phenomenon, and the other is Outside-brain Phenomenon in which the NDE is recognized as a real experience. Then, I introduce the cases of out-of-body experience, because it can serve as a firm ground supporting Outside-brain P henomenon among attributions of the NDE. In conclusion, I affirm that Inside-brain P henomenon and Outside-brain P henomenon ended up with the contrast of two different points of view which are ‘materialistic reductionism’ and ‘non-reductionism’.In addition, I show that the NDE and religious experience are very similar in the sense that they have limit to verbalize and value intuitional experience over reasoning as an important method of recognition. I also clarify that those two experiences are similar in their contents and effects that people meet certain being of light of loving nature and have matured both mentally and morally. The NDE has enough evidence to the people who believes it, but it could not be never enough to the people who does not. Though, the NDE, especially the out-of-body experience has significant meaning. B ecause it opens the possibility that human beings can exist as a mental being even after their death.

목차

Ⅰ. 서 론
Ⅱ. 근사체험의 정의와 사례
Ⅲ. 근사체험의 연구 현황과 특성
Ⅳ. 근사체험에 대한 해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정률,Nam, Jong Yul. (2014).근사체험(近死體驗) 연구. 인격주의 생명윤리, 4 (1), 109-158

MLA

남정률,Nam, Jong Yul. "근사체험(近死體驗) 연구." 인격주의 생명윤리, 4.1(2014): 109-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