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복선화음가>에 구현된 치산(治産)의 의미와 텍스트 향유의 내적 기반

이용수 725

영문명
The Meaning of Managing the Household and Inner Value of the Text for Enjoyment In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이종필(Lee, Jongpil)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30권, 217~24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복선화음가>에서 서사화 된 양반 여성의 노동과 치부(致富), 그로 인한 가문 재건 양상을 둘러싼 기존의 해석이 중세적 가부장제의 강화와 근대성의 단초라는 극단의 시각에서 진행되고 있음에 문제를 제기하고 텍스트의 의미를 재 고찰하기 위해 기술되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복선화음가>의 주인공(李氏부인)이 전형적인 부덕(婦德)을 실천했던 인물에서 경제적 부를 추구하는 인물로 ‘변모’하는 과정에 주목했다. 전형적인 부덕의 체현자였던 이씨 부인은 극심한 가난을 체험한 후 절용이나 근검과 같이 종래에 강조되어 왔던 부덕(婦德)의 추구만으로는 문제적 현실을 타개할 수 없음을 직시한다. 이후 그녀는 적극적인 노동을 통해 치부(致富)에 성공하며 그러한 경제적 기반을 통해 가문의 재건을 이뤄낸다. 결국 <복선화음가>는 효봉고구(孝奉舅姑)나 봉제사(奉祭祀), 접빈객(接賓客)과 같은 ‘여성의 도리’를 다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치산(治産)과 치부(致富)에 힘써야 함을 강조하는 변이형 계녀가(誡女歌)로 정의할 수 있다. 특기할 것은 <복선화음가>가 계녀가의 일종이면서도 주인공이 축적한 부(富)의 수준이 기존의 계녀 담론에서 이상적으로 여기는 치산의 범주를 뛰어넘어 ‘환상’의 차원에 가깝게 묘사된다는 점이다. 나아가 이러한 특징이 <복선화음가>가 계녀가임에도 불구하고 강한 파급력을 지니게 된 텍스트의 내적 기반이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 선화음가>가 무수한 이본(異本)을 파생했다는 사실은 이 가사의 향유자들이 전통적인 치산(治産)의 미덕을 넘어 보다 적극적인 노동과 그에 따른 부(富)의 축적을 이뤄낸 이씨 부인의 ‘자수성가 신화’에 크게 공감했던 시대적 정황을 드러낸다. 한편, <복선화음가>의 유행과 확산은 ‘절용(節用)’이 특히 중시되던 종래의 부덕(婦德) 관념에 예상치 않은 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했음을 암시하는 현상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가난의 고통을 근검과 절약을 통해 감내하는 것을 미덕으로 삼았던 여성들이 이제 적극적인 노동과 치부(致富)의 주체로 변모하고자 했다는 사실을 우리는 <복선화음가>의 출현과 그에 대한 열렬한 향유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상의 논의에서 우리는 <복선화음가>의 주인공을 가부장제의 음험한 논리에 포섭된 수동적 주체나 혹은 적극적인 경제 행위를 통해 도래할 근대를 예비했던 선각자적 주체로 성급하게 정의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오히려 우리가 주목해야 할 지점은 <복선화음가>에 공감했을 많은 이씨 부인‘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시대적 조건 속에서 가난과 궁핍이라는 문제적 현실의 타개를 위해 기존의 이념적 부덕(婦德)의 준수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현실로 뛰어들고 있었다는 사실 그 자체일 것이다. <복선화음가>의 주인공과 향유자들 즉 노동과 치산의 적극적 주체이기를 희구한 여성들이 ‘근대’의 맥락에서 어떤 위상으로 다시금 자리매김되었는가는 별도의 문제로 남아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at bringing up a question on the existing interpretation of which is based on the two extreme circumstances - the strengthened patriarchal system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nd beginning of modernity - and at taking a reconsideration on the meaning of the text itself.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firstly takes a close look at the complete “transfiguration” of its main character (Mrs. Lee) who changes from a typical character, who practices womanly virtues, into a person, who seeks wealth since she went through sever poverty. The story depicts Mrs. Lee as a character who faces up to the reality in which she could not make a living by pursuing only the existing womanly virtues such as thrift and saving and so tries hard to obtain wealth by active labor. Telling her married daughter about how she herself overcame poverty, Mrs. Lee also asks her earnestly to keep house well and adjust well to her married life. In other words, , as a variant form of the gyenyeo-ga誡女歌, puts top priority on managing the household and wealth even to live up to the traditionally emphasized “womanly virtues”. The emphasis here is that the people who enjoyed expected women to play a more active role, which is beyond the traditional virtues of managing the household, by actively working and obtaining accompanied wealth. That has numerous different editions implies that the strengthened patriarchal system of the period forced women into the scene of labor and that there was an unexpected crack on the strong belief in the traditional womanly virtues - thrift and saving. So, women were now transformed into a subject of roles of active labor and managing wealth from a mere passive character that endured economic hardships by practicing thrift and saving. The analysis above shows us that the main character of cannot be simply defined either as a woman who contributed to the strengthened patriarchal system or as a woman who prepared for modernity by active economic action. The fact we need to focus more on is that many other women of the period, who might have empathized with Mrs. Lee, went into the reality and lived an active life to fight poverty and hardships under the given condition of the time, rather than just trying to keep the ideological womanly virtues. In conclusion, it remains an unsettled question that what other characteristics the main characters of , who were transformed into a subject to roles of active labor and managing wealth, would have had in the context of “modern times”.

목차

1. 문제 제기
2. 가난과의 대결과 부덕(婦德)의 지향 변화
1) 부도(婦道)의 교육과 부덕의 체화
2) 치산(治産) 주체로의 변모
3. 여성의 적극적인 경제활동과 이념적 부덕(婦德)의 균열
1) 치산(治産)을 넘어선 치부(致富)에의 욕망
2) 어머니의 일생과 딸에 대한 경계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필(Lee, Jongpil). (2015).<복선화음가>에 구현된 치산(治産)의 의미와 텍스트 향유의 내적 기반.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0 , 217-240

MLA

이종필(Lee, Jongpil). "<복선화음가>에 구현된 치산(治産)의 의미와 텍스트 향유의 내적 기반."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0.(2015): 217-2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