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축물 피난시설 기준간 문제점 도출을 통한 통합관리 방안 모색 연구 -피난경로 및 피난안전공간을 중심으로-
이용수 209
- 영문명
- A Study on Comprehensive Management of Building Evacuation Facilities Standards -Focus on Egress routes and Refuge Area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황은경 Hwang, Eun Kyou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4권3호, 209~21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건축물의 초고층화 대규모화 대공간화 복합화로 인해 피난시간의 증가와 소방구조 활동의 한계로 화재발생시 인명피해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소방분야의 법령이 현행 건축법과의 중복규정 등으로 인해 법의 운영 및 적용에 많은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현재 피난시설 주요 중복기준으로는 재실자 밀도기준, 피난안전구역 설치기준, 지하층 개방공간 기준, 출구 폭 기준, 피난계단 개수 및 유효 폭 기준이 있다. 이들 기준간 주요 문제점은 유사기준이 개별법령에 분리 제정되어 기준 파악이 어렵고, 일부 기준이 서로 상이하여 적용상 혼란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해외 규정을 참고기준으로 명시함으로써 국내법령과의 혼선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피난시설 기준 통합관리를 위해 관련 정부 부처간 협의체 구성과 피난시설 통합관리 및 고시운영방안 등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이를 토대로 건축과 소방분야 전반에 대한 통합코드화 및 온라인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As buildings in today`s world become taller, larger, more spacious and complex, casualties from fire is likely to increase due to prolonged evacuation time and limited fire rescue capacity. Also, the conflict between current fire protection codes and building codes are causing confusions in the operation and application of the regulations. The overlapping standards are mainly on occupancy, refuge area establishments, underground open space, exit area width, and steps and effective width of evacuation stairway. It is difficult to know what the actual standard is as similar standards are often amended in different laws and the application of standard becomes complex as some standards often contradict each other or are inconsistent. Also some standards directly cite foreign standards and this causes significant confusion for Korean regulatory process and application. In this study, operational plans for administrative cooperation and managing standards of evacuation facilities more comprehensively have been proposed. This would eventually call for comprehensive codification of building and fire protection sectors and formation of an online syste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모트센싱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한 유해가스 누출 현장의 실측에 관한 연구
- 가스계 소화설비의 인명 안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소방전원계통의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 방재적 계획요인을 반영한 압축도시 핵심지표의 중요도 분석
- 인공위성 가뭄지수를 활용한 한반도 가뭄 평가; 2013년 남부지방 가뭄을 대상으로
- 국내 건축물 피난실험 문헌분석을 통한 피난 실험설계요소 개선연구
- 터널 화재시 연기확산 방지를 위한 국소제연설비의 성능 평가 연구
- 폭로실험에 의한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적 수명예측
- 바이오매스 나무재를 활용한 친환경 보강토의 특성 연구
- 산사태 유발강우 분석을 통한 산사태 예보기준의 적정성 검토
- 국내외 재실자밀도 기준 비교를 통한 개선방안 연구
- RCP 8.5 극한기온 타당성 평가
- 전기비저항을 활용한 지층의 간극률 산정
- 서울시 도로기반시설물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위한 DB 구축방안 연구
- SLEUTH 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지역 침수분석
- R2V2와 UAV를 이용한 3차원 하천지형정보 취득 기법 개발
- 중소 지류하천의 홍수위 산정에 관한 연구
- 원심모형실험을 이용한 증고 저수지 제체의 거동특성 연구
- 조립식 강판밴드 보강공법에 의한 비보강 조적벽체의 내진보강효과
- 레이더 예측강우를 활용한 도시침수예측: 사례연구
- 미립자 퇴적물의 침식거동에 관한 실험연구
- 수평·수직지반운동의 최대지반가속도 비율을 고려한 정형 RC 건물의 지진응답평가
- 지하철 고상 승강장 설치형 안전발판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강구조 건축물의 내화성능설계 평가 프로그램 개발
- 최적화기법을 이용한 철도차량 바닥재의 화염 열유속 및 방사율 예측
- 불확실성을 고려한 상수관망 누수탐지 모형 개발 및 적용
- 비내진상세를 가지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균열발생특성
- Evaluation of Shear Modulus of Sand Using Earthquake Records in Dynamic Centrifuge Tests
-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포트홀 개수 예측 모델 개발
- 유사배제를 위한 역쐐기 천공형 래버린스 보의 최적 설계인자 도출
- 신형상 전단연결재를 적용한 철선일체형 데크플레이트의 성능평가
- 건축물 피난시설 기준간 문제점 도출을 통한 통합관리 방안 모색 연구 -피난경로 및 피난안전공간을 중심으로-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건식절단해체 공법의 소음 저감성능 평가
- 비교실험을 통한 샌드위치패널의 화재위험성 평가
- 내구성 시험에 의한 초고층 건축물 선형조인트 충전시스템의 내화 성능 평가
- 스프링클러 작동시 분무액적이 연기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토양오염 예방 대책 강화 방안
- 홍수기 다기능보 운영을 고려한 수리학적 모형 개발
- 다중동조 질량감쇠기를 이용한 교량의 진동제어
- 수평화염전파에 대한 매커니즘(ISO 12949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 화염성상을 중심으로)
- 인화성물질에 대한 행정기관의 인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