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토사유출량의 공간분포 산정결과 평가를 위한 RUSLE와 LISEM의 비교

이용수 17

영문명
Comparison of RUSLE and LISEM for the Evalu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Simulated Sediment Yield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임성수 김민석 김중훈 백경록 Im, Sung Soo Kim, Minseok Kim, Joong Hoon Paik, Kyungrock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2권5호, 199~206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0.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토사유출량의 공간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다양한 모형이 개발됐으나, 모형의 개발목적과 연산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줄 수 있다. 토사유출의 공간분포를 실측한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렇게 차이 나는 모의결과를 검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이상의 모형의 결과가 같은 유역에서 비슷한 공간분포를 보여준다면 어느 정도 결과를 신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LISEM과 GIS 기반의 RUSLE를 경기도의 한 소유역에 적용하였다. 모의결과 두 모형은 대체로 유사한 토사발생량의 공간분포를 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LISEM이 RUSLE보다 고르게 분포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두 모형의 구조적 차이와 입력인자 범위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LISEM은 본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국내에 적용되는 만큼 앞으로 다양한 연구를 통해 국내 현실에 맞는 입력자료의 범위가 제시된다면 RUSLE보다 물리적인 기반에서 토사유출을 모의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했다.

영문 초록

Various model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estim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sediment yield. However, they often generate distinct results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ir development purposes and calculation processes. Therefore, it is challenging to verify the simulation result without ground measurements of spatially varying sediment fluxes. Here, we postulate that applying multiple models to a same watershed and checking whether they provide similar spatial distributions can be an indirect method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models. To test this idea, we apply two models of LISEM and GIS-based RUSLE for a small watershed in Gyeonggi-do, South Korea, where actual sediment yield was measured at the outlet. Two models result in similar spatial patterns in the distribution of sediments yield. LISEM results show more evenly distributed sediment yield. This difference is partly due to the difference in model structures and due to the ranges of parameters chosen between the two models. Compared to RUSLE, there are limited references for model parameter values of LISEM in Korean practices. Helped by physically-based model structure, LISEM is expected to simulate sediment yield in a more reasonable manner, compared to RUSLE, once the appropriate ranges of model parameters are suggested in the futur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성수,김민석,김중훈,백경록,Im, Sung Soo,Kim, Minseok,Kim, Joong Hoon,Paik, Kyungrock,. (2012).토사유출량의 공간분포 산정결과 평가를 위한 RUSLE와 LISEM의 비교.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2 (5), 199-206

MLA

임성수,김민석,김중훈,백경록,Im, Sung Soo,Kim, Minseok,Kim, Joong Hoon,Paik, Kyungrock,. "토사유출량의 공간분포 산정결과 평가를 위한 RUSLE와 LISEM의 비교."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2.5(2012): 199-2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