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도적 사회화 행동과 직무만족:사회적 자본의 매개역할

이용수 730

영문명
Proactive Socializatio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The Mediating Role of Social Capital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이종건(Jong Keon Le) 김희은(Hee Eun Kim)
간행물 정보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23권 제1호, 203~22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2.23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회화는 애매모호함 및 스트레스와 같은 감정적 취약점을 완화시키며, 종업원들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화시키며, 채워지지 않는 기대가 조직효과성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킨다. 선행연구들은 조직에 진입하는 개인들이 사회화를 하는 동안 그들 자신의 적응을 촉진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무엇을 하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리를 확장하여 직무만족이 주도적 사회화 행동 및 사회적 자본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분석함으로써 현직 종업원들의 사회화 행동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종업원들의 주도적 사회화 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자본이 주도적 사회화 행동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도적 사회화 행동은 긍정적 틀짜기와 일반적 사회화로 구분하였으며, 사회적 자본은 관계적 차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20개의 제조업체에 속한 280명의 종업원으로부터 연구자료가 수집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틀짜기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일반적 사회화는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틀짜기와 일반적 사회화는 사회적 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자본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긍정적 틀짜기-직무만족 관계를 부분 매개하고, 일반적 사회화-직무만족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으며,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Socialization alleviates emotional vulnerability such as ambiguity and stress, strengthens social interaction amongst employees, and minimizes the negative effects of unmet expectations on overal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Yang, 2008).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the role that individual disposition might play in the entry process and on what individuals entering organizations actually do during socialization to facilitate their own adaptation (Ashford & Black, 1996; Smith & Kozlowski, 1995). Extending this logic,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urrent employees’ socialization behavior by specifically assessing whether job satisfaction is determined by the level of their proactive socialization behavior and social capi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ployees’ proactive socialization behavior on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capital on this relationship.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we formulated the following hypotheses: H1: Positive framing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H2: General socializing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H3: Positive framing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capital. H4: General socializing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capital. H5: Social capital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H6-1: Social capital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framing and job satisfaction. H6-2: Social capital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ocializing and job satisfaction. To test these hypotheses, we used questionnaire data for 280 employees from 20 manufacturing firms in Korea. Proactive socialization behavior was divided into two variables, positive framing and general socializing, and social capital focused on the structural dimension. The study controlled three variables that might affec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gender,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ositive fram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whereas general socializing had no effect on job satisf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positive framing and general socializing were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capital. Social capital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framing and job satisfaction and fully mediated that between general socializing and job satisfaction. From thi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job satisfaction in theory and in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의 도출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건(Jong Keon Le),김희은(Hee Eun Kim). (2015).주도적 사회화 행동과 직무만족:사회적 자본의 매개역할. 인사조직연구, 23 (1), 203-220

MLA

이종건(Jong Keon Le),김희은(Hee Eun Kim). "주도적 사회화 행동과 직무만족:사회적 자본의 매개역할." 인사조직연구, 23.1(2015): 203-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