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여성성

이용수 1050

영문명
The Femininity Shown in the Costumes of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홍나영(Hong Na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3권, 81~102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18~19세기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여성성을 고찰한 것이다. 남녀유별이 강조된 조선사회에서 여성의 복식은 남자와 달라야 함이 강조되었다. 첫돌 이전의 어린이에게는 남녀의 복식차가 없지만 돌옷부터 남녀 옷차림에 차이가 나기 시작하였으며 기혼 여부는 물론 남편의 생존여부도 복식으로 드러났다. 남성의 경우 신분을 나타내는 관모와 외출용 의복인 포류가 발달한 것에 비하여 여성의 경우 내외법으로 인해 외출을 금기시함에 따라 내외용 쓰개가 발달되었다. 여성에 대한 이중적인 잣대가 적용됨에 따라 기생에게는 여성성을 강조한 옷차림과 사치에 대해 너그러웠다. 기녀나 의녀들은 얼굴이 노출되는 쓰개를 쓸 수 있었으며 의복사치에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았다. 반면, 지나치게 외모를 치장하여 이성의 눈길을 끄는 것은 기녀에게나 어울리는 행동이므로 여염집 여성은 피해야 할 태도로 여겼다. 조선전기에는 풍성한 실루엣으로 몸매를 드러내지 않았던 여성복식은 조선후기에 들어서 여성들의 복식은 다분히 성적인 매력을 강조하도록 변화하였다. 가냘픈 여성의 상체의 곡선이 드러나는 좁고 짧은 저고리와 하체를 강조한 풍성하고 긴 치마가 등장하여 상박하후(上薄下厚) 실루엣은 양반층 여성에게까지 유행이 확대되었으며, 19세기 복식에 보이는 당의(唐衣) 도련의 양 귀퉁이, 저고리의 섶코, 버선코와 신코 등에서 나타나는 뾰족한 곡선은 부드럽고 유연하되 작고 여린 모습을 이상으로 한 여성미를 표현하는 한 방식으로 보인다. 또한 가문의 혈통을 잇는 것이 우선시 되었던 가치관으로 인해 겹겹이 입는 속옷과 정절과 다산을 상징하는 문양의 옷감이나 장신구가 선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femininity shown in the Joseon Dynasty costumes from the eighteenth to the nineteenth century. It was emphasized that women's costume should be different from men's because of the strict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of the Joseon society. 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 baby boy's and a baby girl's clothing before their first birthday, they wore distinctive clothes after this period. Furthermore, people could figure out the status of marriage or widowhood through the costumes, In the case of men's clothing, an official's hat and a coat for outdoors had been developed to show the man's status, while for a woman, a veil had been developed because Confucianism prohibited a woman from going outside. Due to a dual standard, a kisaeng was tolerated even when she wore a dress that emphasized femininity or lived in luxury. Kisaeng oreunyeo, a medical woman of the Joseon Dynasty, wore a headdress which revealed her face and there was no restriction for wearing luxurious clothing. However, it was recommended for an ordinary woman to avoid the above- mentioned clothing, because a highly decorated dress that attracted men was regarded as being fit only to kisaeng. Women's costume of the early Joseon period which did not reveal the woman's rich silhouette had changed to stress the sexual attractiveness of wom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the narrow and tight jeogori that revealed the feeble upper body line of a woman, and a long and baggy skirt that emphasized the lower body part appeared, this fashion of a tight upper and voluminous lower silhouette became popular to the high class women. A pointed curve that could be detected at a hemline of both corners ofdangeui and in the details ofjeogori, beoseon, and the traditional shoes, seems to be a way of expressing the ideal femininity of soft, tender, and feebleness. However, due to a value system that prioritized the succession of the bloodline, a woman preferred many layers of inner wear, cloth patterns, and ornaments that symbolized chastity and high fertility.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생애단계별 여성복식
3. 남녀 유별한 사회에서의 여성복식
4. 복식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이중적 태도
5.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나영(Hong Na young). (2006).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여성성.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3 , 81-102

MLA

홍나영(Hong Na young).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여성성."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3.(2006): 81-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