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호문화교류학습을 통한 글로벌 장소감 형성

이용수 319

영문명
Development of Global Sense of Place through Intercultural Exchange Learning - Focus on the Changing Image of South East Asian Region -
발행기관
글로벌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차보은(Cha, Bo Eun)
간행물 정보
『글로벌교육연구』글로벌교육연구 제6집 1호, 3~30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구화로 인한 시ㆍ공간의 압축은 다양한 수준의 국가 간, 사람 간 연결을 초래하였으며 이러한 연결은 ‘상호성’에 중심을 둔 글로벌 교육, 글로벌 장소감을 조명한다. 유의미한 ‘상호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타 지역에 대한 편견 없는 지역이해가 우선 되어야 한다. 한국 다문화 사회 진입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형성 되어져가는 동남아시아에 대한 이미지의 변화와 글로벌 장소감의 관계 분석을 통하여 상호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지역 이미지를 바라보는 방식, 장소감, 지오멘탈리티 세 가지로 개념화하고 학생들의 동남아시아에 대한 지역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상호문화교육 단계에 따른 ‘상호문화교류학습’을 개발하여 실행연구를 통하여 수업을 분석-반성-수정하며 학생들의 동남아시아 지역이미지의 변화 과정과 글로벌 장소감의 형성 및 발전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상호문화교류 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은 더 친근하게 지역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었고 상호성을 발견하고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변화된 지역이미지는 세계의 상호 연결성을 확인하고 유대감을 가지는 글로벌 장소감으로 확장되었다.

영문 초록

We are living in an era of ‘Globalization’ arising from a phenomenon which has been called ‘time-space compression’. More countries and people are linked by a wide range so that we need to rethink our sense of place. The extended notion of sense of place could be called ‘Global sense of place’ We also need a new paradigm for education in this global society, that is an education which figures out the interdependence and inter-relationship. Having a well-balanced regional image and a perception without prejudice, is very important in this global world.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how intercultural exchange programs can play a role in students’ development of a global sense of place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by action research method. So it is concluded that students developed an increased interest in South East Asia. Also, the negative image of South East Asia changed to a positive perception through intercultural exchange. Secondly, the unfavorable perception towards South East Asia was due to students’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and unfamiliarity. Thirdly, the intercultural exchange program could have built and developed inter-dependence and inter-connection between the students so that they could have a mutual sense of solidarity. Such solidarity is deeply related with a global sense of place, and a global sense of place can be constructed by an understanding of linking place to place. In summary, students’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bout South East Asia could have changed the image of the region and that leads to an extended sense of place that is global sense of place.

목차

내용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보은(Cha, Bo Eun). (2014).상호문화교류학습을 통한 글로벌 장소감 형성. 글로벌교육연구, 6 (1), 3-30

MLA

차보은(Cha, Bo Eun). "상호문화교류학습을 통한 글로벌 장소감 형성." 글로벌교육연구, 6.1(2014): 3-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