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난치성 딸꾹질을 보인 급성 중대뇌동맥 경색증의 예후

이용수 89

영문명
Prognosis of Acute Middle Cerebral Artery Infarction with Intractable Hiccup
발행기관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저자명
김명국(Meyung-Kug Kim), 유봉구(Bong-Goo Yoo), 권수경(Su-Kyoung Kwon)
간행물 정보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제12권 제4호, 183~190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배경: 난치성 딸꾹질은 48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치료에도 불구하고 계속 재발하는 경우인데, 연하장애 및 기도조절의 소실, 흡인성 폐렴, 체중감소 등과 연관되어 임상 경과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뇌졸중 초기에 나타난 딸꾹질이 환자의 예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저자들은 난치성 딸꾹질이 큰 중대뇌동맥 경색증에서 예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발병 24시간 내에 입원한 급성 뇌경색증 환자들 중 발병 후 2주 내에 난치성 딸꾹질을 보인 큰 중대뇌동맥 경색증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했다. 뇌경색증 외에 난치성 딸꾹질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내과적 이상이나 과거력이 있는 경우는 제외했다. 임상 기록이 불충분한 경우 및 뇌간 병변이 있거나 큰 중대뇌동맥 경색증이 아닌 환자도 제외했다. 대조군은 같은 기간 내에 입원한 큰 중대뇌동맥 경색증 환자들 중 난치성 딸꾹질이 없었던 15명으로 했다. 각 환자의 딸꾹질 시작 시기 및 지속시간을 조사하였고, 내원시 및 3일, 7일, 3개월 후의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점수, 바델지수, modified Rankin Scale (mRS) 등을 분석했다. 생존분석은 Kaplan-Meier 곡선을 이용했다. 유의수준은 P<0.05로 했다. 결과: 성별은 모두 남자였고, 난치성 딸꾹질의 시작 시기는 뇌경색증 발생 후 평균 4.1±1.8일(2∼9일), 지속 시간은 평균 5.9±2.8일(3∼11일)이었다. 내원시, 3일, 7일, 3개월 후 NIHSS 점수, 바델지수, mRS에 있어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난치성 딸꾹질 환자군과 대조군간의 생존 분석도 차이는 없었다. 결론: 큰 중대뇌동맥 뇌경색증의 급성기에 나타날 수 있는 난치성 딸꾹질은 남자에서 흔하며, 발병 4일 정도에서 잘 발생하고, 6일 정도 지속된다. 하지만 난치성 딸꾹질이 뇌경색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하지 않다.

영문 초록

Background: The intractable hiccups (IH) are defined as hiccup persisting for more than 48 hours. In general, the IH are associated with dysphagia, loss of airway control, aspiration pneumonia and weight loss. There are no reports that prognostic significance of IH in patients with acute middle cerebral artery (MCA) infarc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IH are a poor prognostic factor in MCA infarction. Methods: We identified 16 acute MCA infarction patients with IH by medical record, telephone interview and brain MRI and/or CT between 1998 and 2003. Fifteen patients without IHs were included as control group. We excluded any patients who might have had any other causes of hiccup. Using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score, Barthel index (BI) and modified Rankin scale (mRS), we compared two groups on admission, 3 days, 7 days and 3 months. We analyzed survival period by Kaplan-Meier method. Results: All patients with IHs were men. The mean onset time of IHs was 4.1 days (range, 2∼9 days). The mean duration of IHs was 5.9 days (range, 3∼11 day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NIHSS score, BI and mRS between IH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rvival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occurrence of IH after acute MCA infarction are frequent in men and does not have prognostic significance.

목차

Abstract
서론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국(Meyung-Kug Kim), 유봉구(Bong-Goo Yoo), 권수경(Su-Kyoung Kwon). (2011).난치성 딸꾹질을 보인 급성 중대뇌동맥 경색증의 예후.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12 (4), 183-190

MLA

김명국(Meyung-Kug Kim), 유봉구(Bong-Goo Yoo), 권수경(Su-Kyoung Kwon). "난치성 딸꾹질을 보인 급성 중대뇌동맥 경색증의 예후."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12.4(2011): 183-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