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이용수 2151

영문명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Behaviors i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Grandparents of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Family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송유미(Yoo-Mee, Song) 이선자(Seon-Ja, Lee)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1권 3호, 795~811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조손가족 조부모의 우울이 높아지면서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조절하기 위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이들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전국 조손가족 중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조부모 369명을 대상으로 조사했고, 그 중 334명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SPSS 19.0 프로그램을 활용한 위계적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 그리고 대처행동 간에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이 높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낮은 관계가 있었다. 또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처행동 중 신앙의 의지, 부정적 감정표출, 수동적 회피의 정도가 높은 관계가 있었고, 문제 재정립은 낮은 관계가 있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는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평가적 지지는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데는 효과가 없었다. 셋째, 대처행동 중 신앙의지, 낮은 수동적 회피는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문제 재정립은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데는 효과가 없었다. 한편, 감정표출은 양육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에서 조절효과를 설명하는데 무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이를 통해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를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an interest on how to moderate parenting stress of grandparents is rising according to rising depression of grandparents of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family(GGF) because of parenting stress So, this study tried to analyze moderating effects by setting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behaviors as moderator variable in order to know how much parenting stress of grandparents would influence their depression.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369 cases of grandparents who were being provided social welfare service and to 334 cases out of them, did multigroup analysis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under spss Vor. 19.0 program.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the more parenting stress was high, the more depression high. But when social support was high, parenting stress low. And the more parenting stress was high, faith dependenc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passive evasion as stress coping behaviors also high while problem reestablishment low. Second,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as social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s in which parenting stress influenced depression while appraisal support had not. Third, faith dependence and low passive evasion as stress coping behaviors had moderating effects in influence of parenting stress to depression while problem reestablishment has not. On the one hand, emotional expression was meaningless in explaining moderating effects in connection with parenting stress. Through these, we draw a social welfare practical implication that could lift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behavior i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grandparents of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Family.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유미(Yoo-Mee, Song),이선자(Seon-Ja, Lee). (2011).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 31 (3), 795-811

MLA

송유미(Yoo-Mee, Song),이선자(Seon-Ja, Lee).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 31.3(2011): 795-8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