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0세 이상 건강한 노인 여성의 골대사와 골밀도
이용수 113
- 영문명
- BMD & bone turnover in Aged healthy Korean Women
- 발행기관
- 대한임상노인의학회
- 저자명
- 오한진(Oh Han Jin) 최희정(Choi Hee Jung) 오장균(Oh Jang Kyun)
- 간행물 정보
-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제2권 제2호, 69~79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배경 : 골다공증은 고령의 연령층에서 골절과 연관된 많은 합병증 및 병발증을 유발하여 사회적으로 경제적인 부담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이고 개인에게는 삶의 질을 감소시킴으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질병이다. 고령에서 나타나는 골소실은 폐경 초기와는 다른 것으로 칼슘대사의 이상에서 오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증가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아직 한국인 고령 여성의 골밀도 변화와 골대사 지표의 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가 미미하다.
연구방법 : 2000년 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제일병원 갱년기 클리닉에 내원한 60세 이상 여성 중, 동일한 골밀도 측정기로 골밀도를 측정한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의 설문을 통해 산과력을 확인하였으며, 체격과 지질대사 및 골대사 및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TSH, FSH 및 estradiol을 측정하였으며, 연령에 따라 4군으로 구분하여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60세 이상의 여성에서 연령의 증가에 따라 골밀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골대사 지표인 total alkaline phosphatase, osteocalcin과 deoxypyridinoline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각 연령 군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TSH, FSH 및 estradiol의 측정치도 각 군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요추 골밀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에는 폐경 기간, 체중, 및 출산횟수 및 유산횟수가 포함되었다.
결론 : 60세 이상의 여성에서 골대사는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이에 따라 골밀도의 감소도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대상자의 수를 늘리고 또한 음주와 흡연 및 운동 등의 요소에 대한 종합적이며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steoporosis, the most common metabolic bone disease, is defined by low bone density and because risk of fragility fracture is strongly related to bone density. Bone loss after menopause accelerated at early stage of menopause, and then decreased. So, we evaluated association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umbar BMD of aged postmenopaisaJ Korean women, and determine the markers of bone turnover simultaneously.
Subjects and Methods : 308 postmenopausal Korean women aged over 60 years were evaluated who visited Samsung Cheil hospital & Women's health care center located in Seoul from Jan 2000 to July 2001, with respect to markers of bone turnover and BMD at lumbar spine. We compared changes of markers and changes of BMD of the subjects who stratified 4 groups according to age. We also measured obstetrical history and physical, anthropometric data including body fat.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BMD and markers of bone turnover according to age group, oneway ANOVA test were made. And to determine the contributable factors for lumbar BM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lso made.
Results : 1) BMD decreased continuously with age. 2) But, no significant changes of markers of bone turnover among 4 age groups.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anthropometric data among 4 age groups. 4) in Pearson's correlation test, YSM were noted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lumbar BMD. 5) Years since menopause, weight were revealed as important factors that predicting spinal BMD by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the bone metabolism was increased and also according to the increased bone turnover, BMD was decreased simultaneously with age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ged over 60 years.
목차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요약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Quality of 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and Hospital Repeat and Referral Intentions, Influence Facto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Centered at the D Region Superior General Hospital
-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Dependence and Sleep Quality: Mediating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nxiety
- Comparative Analysis of Sociodemographic and Health Indicators in Normal, Prediabetes, and Diabetes Groups: Insights from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