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성의 틈새에서 새어나온 여성의 목소리

이용수 459

영문명
Women's Voice Sounding through Men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강소영(Kang, So-ye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2권, 425~456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신여성』을 대상으로 여성과 관련한 은유 표현을 찾아내고 이를남성과 여성 작가별로 분류, 성차적 의식이 은유 표현 내에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20세기 초 사회문화적 변화로 인해 여성의 해방을 부르짖는 목소리가 힘을 받아 여성은 가정 내에서 밖으로 나서게 되었다. 사회는 학교에 다니고직업을 가지면서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생활을 경험한 그녀들을 '신여성'이라 불렀는데, 이들에 대한 평가는 이중적이었다. 남성 지식인과 더불어 조선의 미래를 이끌어갈 지도자집단에 이름을 올렸다가 어느 순간 허영덩어리 쓸모없는 집단으로평가절하되기도 하였다. 본고는 당시 신여성 담론을 이끌어갔던 <신여성>을 텍스트로 하여 그 안에 사용된 은유표현을 도구로 삼아 분석하였다. 먼저 당시의 사회상황을 '남+X', '여+X' 어휘체계를 토대로 재구해 보았으며 그 결과 여성의 사회진출로 다양한 어휘가 신생되었지만 아직까지 여성항 편재형에 머물러 있어서 여성이 확고한 사회적 지위를 누리지 못하였음을 보았다. 이러한 현상은 <신여성> 여성 필진들이 쓴 글을 대상으로 모아놓은 여성관련 은유표현을 분석한 결과에서도드러났는데, 봉건질서 체제 아래에서 지내던 이전의 상황에서 전혀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여성을 종, 인형, 노리개 등으로 은유화한 데서 알 수 있었다. 물론 이러한 시각은 당시 근대적 담론을 이끌어갔던 남성지식인과 공유할 수밖에 없었으며,이러한 이유로 일정 부분 남성지식인과 동일한 은유표현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남성 지식인이 여성의 경제적 독립을 입으로만 떠들어댔을 뿐, 이를 위한사회적 제도마련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여성 필진과 남성 필진의 은유 표현은 미세하게나마 서로 차이를 보였다. 본고는 이런 점이 여성 필진과 남성 필진의 성적 차이를 반영한 결과라고 생각하며, 여성이 남성보다 진일보한 발전을 보이고 있는 것이라 판단하였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metaphoric expressions related to women in , to classify them by male and female writers,and to examine whether sexist consciousness is reflected in the metaphoric expressions. With socio-cultural changes in the early 20th century, women's voice for freedom was lifted and inspired women stood up and went out into the society. For the women who attended school,had a job and experienced a life totally different from the past, the society gave the title 'new women'but its evaluation of such women was double-sided. Their names were enlisted as leaders who would lead the future of Korea, but at some moment, they were undervalued as a group of useless vanity. This study reviewed these views using the texts of , which led discourses on new women in those days. We first restructured the social situation in those days based on vocabulary system 'male + X' and 'female + X' and found that various terms were coined with women'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but women could not enjoy a secure social position as evidenced by their remaining in the a biased 'female+X' form. This phenomenon was also found in theresult of analyzing women-related metaphoric expressions collected from women writers' articles in . That is, from metaphors such as [Women are servants], [Women are dolls] and [Women are playthings],we can infer that women in those were still under the old system of feudalistic order. Of course, these views had to be shared with male intellects who led modern discourses in those days, and for this reason,the same metaphoric expressions were also observed in some maleintellects' writings. As shown by the fact that male intellects clamored for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only in word but were not active in establishing social system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though insignificant, between male and female writers.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difference reflects their sexual difference and it explains why women showed more advanced thoughts than men.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논의를 위한 전제
3. <신여성> 은유표현 양상
4. <신여성> 여성필진의 은유 표현 속에 담긴 성차적 특징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소영(Kang, So-yeong). (2010).남성의 틈새에서 새어나온 여성의 목소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2 , 425-456

MLA

강소영(Kang, So-yeong). "남성의 틈새에서 새어나온 여성의 목소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2.(2010): 425-4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