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황쥬목계자긔> 형성 과정 연구

이용수 433

영문명
The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Hwang-jyu-mok-sa-kye-ja-gui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신희경(Shin, Hee-Ky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4권, 455~490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황쥬목계자긔>가 기존 야담을 원텍스트로 하고 있다는 점을 바탕으로 하여 원텍스트의 변용을 중심으로 하는 형성 과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황쥬목계자긔>는 18세기 중ㆍ후반 이후에 찬집된 한문 필사본 야담집 『笑囊』 134화를 원텍스트로 하여 형성된 작품으로 『笑囊』134화 <一方伯..>의 소재와 서사단락에 대응된다. 그러나 <一方伯..>에 비해 <황쥬목계자긔>는 소설이라는 갈래적 특징으로 인해 인물 설정이나 구조 그리고 주제 등에 차이를 보인다. 이와 같이 <一方伯..>을 원텍스트로 하여 생성된 <황쥬목계자긔>는 야담과는 다른 텔링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방각본 소설로서의 면모를 지니게 된다. <황쥬목계자긔>는 사랑과 이별에 대처하는 아들들의 상황이 병렬적으로 배치되면서 동일한 상황을 반복적으로 보여주는 스토리텔링 방식을 주제를 구현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또한, <황쥬목계자긔>는 인물이 처한 상황과 그 장면을 보여주는 스토리텔링 방식을 가지고 있다. 상황의 추이를 편집자의 시각으로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묘사의 방식으로 보여줌으로써 장면이 객관화되고 사실적이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황쥬목계자긔>는 유사한 문맥적 기능을 가진 어휘들을 열거하고 함으로써 사설치레를 활용하는 스토리텔링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사설치레의 기능과 같은 맥락에서 진행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대 정서에 반하는 일탈적인 언어와 권위의 전복에서 오는 골계성은 <황쥬목계자긔>의 표현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골계를 통해 <황쥬목계자긔>는 전형적인 양반과 관리들의 이중적 성격에 대한 비소를 유도하고자 한 것이다. <황쥬목계자긔>의 이러한 스토리텔링 방식들은 개별적으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와 표현, 사설치레와 골계성이 교직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텔링 방식이 소설이라는 특정한 장르로의 지향과정에서 의도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황쥬목계자긔>에 적용된 스토리텔링 방식은 원텍스트의 서사 구조를 골격으로 하여 대상에 대한 탐색과 주장을 곁들이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생산 방식은 <황쥬목계자긔>의 소비방식을 동시에 표상하고 있는데, 방각본에 요구되는 상품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황쥬목계자긔>의 형성 과정은 도시의 유흥과 유행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황쥬목계자긔>는 야담이 가진 서사 구조에 판소리의 구성 방식과 장르 특성을 적용하여 스토리텔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황쥬목계자긔>에 반영된 이러한 스토리텔링 방식은 19세기 문학의 역동성과 다양성이 단편 소설로 구현되었다는 점에서 소설사적 의미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nsider on the formation process of 'Hwang-jyu-mok-sa- kye-ja-gui' which originally based by yadam So-nang one hundred thirty four, but 'Hwang-jyu-mok-sa-kye-ja-gui' has different storytelling method apart from yadam it shows 'Hwang-jyu-mok-sa-kye-ja-gui's aspect of Bang-kak-bon. 'Hwang-jyu-mok-sa-kye-ja-gui' tell how sons are cope with parting repetitively and using the Sa-sul-chi-re to give characters comical aspect, these storytelling methods have crossed characteristics which showed intentionally because it aims to become popular novel from the very first time. These formation process also reflect city's entertainment and trends because it has to achieve merchantable quality of Bang-kak-bon. To put it shortly, 'Hwang-jyu-mok-sa-kye-ja-gui' have yadam's narration structure, Pan-so-ri's format, genre characteristics in its storytelling methods. This storytelling methods reflected in 'Hwang-jyu-mok-sa-kye-ja-gui' have significant meaning in novel history since it show nineteenth century literature's dynamics and diversity in short story.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황쥬목계자긔>의 스토리 :『笑囊』134화의 서사 변용
3. <황쥬목계자긔>의 스토리텔링 방식
4. <황쥬목계자긔>의 소설사적 의의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희경(Shin, Hee-Kyung). (2011).<황쥬목계자긔> 형성 과정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4 , 455-490

MLA

신희경(Shin, Hee-Kyung). "<황쥬목계자긔> 형성 과정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4.(2011): 455-4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