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녀와의 애착유형에 따라 가족관계가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04

영문명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s on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tyle of the Elderly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정여진(Jeong, Yeo-Jin)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2권 3호, 869~893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녀와의 애착유형에 따라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인과적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60세 이상의 노인 509명이다. 애착유형별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경로 계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정형은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다소 낮았으며 성공적 노화에 대하여 배우자, 자녀, 손자녀와의 관계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몰두형은 배우자 및 손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우자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에 그리고 자녀와의 관계는 손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손자녀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부형은 배우자 및 손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와의 관계는 손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손자녀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두려움형은 성공적 노화에 대하여 배우자 및 자녀와의 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자녀와의 관계는 손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녀와의 관계는 배우자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유형별 연구모형은 각 유형별 차이뿐만 아니라 전체집단 모형과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성공적 노화에 관한 가족관계 변인을 연구함에 있어 노인의 애착을 고려하는 것이 유용함을 시사한다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family on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the four attachment style to children. 509 elderly people over 60 years old having a spouse, non-cohabitated children were included. The main findings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cure and preoccupied attachment style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dismissing and fearful attachment style in successful aging and relationship with spouse, children and grandchildren. Second, total paths of research model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tyle of the elderly. Model fit of secure attachment style was not good and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family on successful aging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ase of preoccupied attachment style,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grandchildren on successful aging were significant. Also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on relationship with children was significant and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on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mediates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on successful aging. In case of dismissing attachment style,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grandchildren on successful aging were significant. Also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on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mediates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on successful aging. In case of fearful attachment style,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grandchildren on successful aging were significant. Also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on relationship with children was significant and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on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hildren mediates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spouse on successful aging. This study explains the role of attachment styles as moderation variable of relationship with family on successful aging and also suggests the importance of marital and grandparents-grandchildren relationship as alternative supporter when the elderly has relational problems with adult childre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여진(Jeong, Yeo-Jin). (2012).자녀와의 애착유형에 따라 가족관계가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2 (3), 869-893

MLA

정여진(Jeong, Yeo-Jin). "자녀와의 애착유형에 따라 가족관계가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2.3(2012): 869-8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