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득계층에 따른 노인들의 건강 불평등 측정

이용수 1422

영문명
An Analysis on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y of the Aged Applied to EQ-5D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김진구(Kim, Jun Gu)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2권 3호, 759~776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EQ-5D를 이용하여 소득계층에 따른 노인들의 건강불평등을 측정하였다. 특히 건강불평등의 다양한 측면을 파악하기 위하여 집중지수를 EQ-5D의 하위차원 및 노인들의 하위집단에 따라 분해(decomposition)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자료가 사용되었으며 이중 60세 이상인 자를 노인으로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EQ-5D 집중지수는 .0254를 기록하였다. 이는 고소득층에 유리한 불평등이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EQ-5D를 구성하는 모든 하위차원 즉,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 불안/우울, 기능악화 등에서도 불건강이 저소득층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둘째, EQ-5D 집중지수를 가장 많이 설명하는 하위차원은 운동능력으로 EQ-5D 집중지수의 35.8%를 설명하였다. 그 다음으로 통증 및 불편(17.7%), 기능악화(17.7%), 일상관리(14.6%) 등의 순으로 설명력이 높다. 이러한 결과는 전 연령층을 분석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대조를 이루는데, 선행연구들에서 기여도가 매우 낮았던 운동능력(3.9%)이 크게 상승한 반면 불안/우울의 기여도는 약화되었다. 셋째, 성별, 지역, 배우자 유무에 따라 EQ-5D 집중지수를 분해한 결과 세 집단이 집중지수를 설명하는 정도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세 집단은 각각 건강형평성의 1/10정도를 설명하였다. 넷째, EQ-5D 집중지수를 하위집단에 따라 분해한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도시지역보다는 농어촌지역이, 그리고 배우자가 있는 노인보다는 없는 노인의 내부불평등이 더 크게 나타났다. 내부 불평등이 큰 세 집단의 경우 모두 EQ-5D 평균값도 낮았는데, 이는 저소득 여성노인일수록, 농어촌지역 저소득 노인일수록, 배우자가 없는 저소득 노인일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이 떨어짐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하위집단의 내부불평등이 집중지수를 설명하는 정도는 여성노인집단, 도시지역 노인집단, 배우자가 있는 노인집단이 크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sed the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y of the aged in Korea applied to EQ-5D. Two decompositions were used in analysis. One was the decomposition of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y into six different dimensions of EQ-5D, and the other was to decompose it by sub-group such as sex, region, existence of spous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ealth concentration index(CI) of the aged was .0254, which meant that there were pro-rich inequality in elderly people's health levels. The same patterns were also seen in the analysis of different dimensions of EQ-5D such as mobility, self-care, usual activities, pain/discomfort, and anxiety/depression. Second, mobility accounted for 35.8% of total EQ-5D score, most contributing to CI of the dimensions of EQ-5D. The CIs by the dimensions ranged from .0091 for mobility to .0013 for self-care. Third, The decompositions by sub-groups showed that the contributions of sex, region, and existence of spouse to health inequality was similar to each other, all of three sub-groups accounted for 10 % of inequality respectively. Fourth, the inequality within group was higher in female group, rural area, and the aged without spouse. The average health level of these groups wa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ones, too. These facts indicated that old women, the aged without spouse, and the elderly in rural area were the most vulnerable groups in health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health problems of these groups in the policy making of health security and social welfare service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구(Kim, Jun Gu). (2012).소득계층에 따른 노인들의 건강 불평등 측정. 한국노년학, 32 (3), 759-776

MLA

김진구(Kim, Jun Gu). "소득계층에 따른 노인들의 건강 불평등 측정." 한국노년학, 32.3(2012): 759-7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