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긍정심리자본 및 사회적 자본과 개인 창의성의 관계

이용수 3151

영문명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and Individual Creativity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김은실(Kim, Eun Sil) 백윤정(Baek, Yoon Jung)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8집 1권, 93~122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2.28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금까지 개인 창의성에 대한 인적 자원(human resource)에 관한 연구는 주로 그 사람이 가진 특성, 능력 및 지식에 근거한 인적 자본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최근 개인 창의성의 중요 요인으로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관계인 사회적 자본과 그 사람 내면에 가지고 있는 강점 및 긍정성을 자본으로 보는 긍정심리자본이 부각되기 시작하였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더구나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원은 개별적으로 개인의 행동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보다 서로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창의성 연구에서는 개인 창의성에 대한 사회적 자본 및 긍정심리자본의 효과를 각각 따로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자본과 개인 창의성, 사회적 자본과 개인 창의성의 관계를 각각 살펴본 후, 두 변수의 상호작용이 개인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표본은 업무상 아이디어를 내고, 문제를 해결하며, 일하는 방식의 개선을 도모하는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최종적으로 22개 기업의 23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네트워크의 측정은 소시오메트릭 기법을 활용하였고, 네트워크 중심성은 근접 중심성으로 측정하였다. 보다 정확한 근접 중심성 측정을 위해 5명 미만의 팀은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분석결과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자본은 개인 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특히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는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이 개인 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에서는 개인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교육훈련을 통한 개인의 긍정심리자본을 개발해야 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사회적 자본도 고려해야함을 알 수 있다. 끝으로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For years, creativity research has focused on human capital is equated with knowledge, skills, abilities or competencies. But in recent decades, social capital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in creativity research, but relatively few studies have explicitly examined the link between social capital as structural dimens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dividual creativity. Moreover, although resources a person has effect on creativity each other rather than individually in individual mind, previous research has not examined thi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individual creativity,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wo capitals on it. We selected respondents who generate ideas, solve problems, and improve for existing method at their work. The final usable sample in this study was 232 employees, working in 22 organizations in Korea. Specially network centrality as the structural dimension of social capital measured closeness centrality, we excluded the team with less than five members for measuring more accurate closeness centrality. The result indicated that both social capital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ffected employee's creativity and their interaction effect also.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t only every organization needs to adapt its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approaches to its own situation and realities, making it unique and organization-specific but also considerate individual's social capital.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실(Kim, Eun Sil),백윤정(Baek, Yoon Jung). (2014).긍정심리자본 및 사회적 자본과 개인 창의성의 관계.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8 (1), 93-122

MLA

김은실(Kim, Eun Sil),백윤정(Baek, Yoon Jung). "긍정심리자본 및 사회적 자본과 개인 창의성의 관계."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8.1(2014): 93-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