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AKAWIHAN BARUDAK SUNDA: SUNDANESE CHILDREN'S SONGS OF WEST JAVA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아시아음악학회
- 저자명
- Indra Ridwan
- 간행물 정보
- 『Asian Musicology』JCAM 17, 5~52쪽, 전체 4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01
8,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essay defin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Sundanese children's songs (Kakawihan Barudak Sunda) and interprets the meanings embedded in these songs. Kakawihan Barudak Sunda are sung throughout the province of West Java and refer to: (1) a repertoire of songs, and (2) the social context of singing these songs. The lyrics of Kakawihan Barudak Sunda contain deep meanings and reflect particular Sundanese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religious values. Kakawihan Barudak Sunda are disseminated orally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Sundanese believe that these songs have existed for hundreds of years. In the 1950s, the context of performance of Kakawihan Barudak Sunda shifted from village contexts to entertainment, music competitions, and festivals. This essay presents a musical and textual analysis of four Kakawihan Barudak Sunda.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Definition and Origins
Sundanese and the Geographic Setting
Musical Change and Context of Performance
Music and Lyrics
Analysis of Kakawihan Barudak Sunda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ovies and Politics in the History of a Chinese Popular Song: From Tang Wei, Li Koran, Zhou Xuan to Abing the Blind
- PERFORMANCE STRUCTURE AND TRANSMISSION IN THE SOUTH INDIAN MRIDANGAM
- KAKAWIHAN BARUDAK SUNDA: SUNDANESE CHILDREN'S SONGS OF WEST JAVA
- AHABALA IN CHINA'S MOSUO SOCIETY: PERFORMANCE, REPRESENTATION AND MEANING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