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몽주(鄭夢周)의 '단심(丹心)'과 이정(李婷)의 '무심(無心)' 비교

이용수 350

영문명
Comparing 'Jeong mong-ju's Dan-sim(devotion) with 'Lee jeong's Mu-sim(absentmindeness)
발행기관
포은학회
저자명
안장리(An Jang-li)
간행물 정보
『포은학연구』제11집, 79~109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시조 <단심가>와 <무심가>로 알려진 정몽주와 이정의 문학작품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은 이정이 지닌 '무심'의 세계를 밝히고 단심의 의미를 되새겨 보려 하였다. 이정의 생애를 졸기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정은 조선 성종의 동생으로 지적이고 문학적 역량이 있었으며, 신분이 높았다. 그러나 모든 벼슬과 교유를 포기하고 늘 동생인 성종을 왕으로서 섬기며 신하로서의 삶에 만족하고 살아야 하였다. 성종의 태평시대, 이정은 가장 바람직한 왕자로서의 삶을 살았다. 중국과 일본을 다니면서 늘 국가를 대표하여 동분서주하였으며, 성리학을 받아들여 국가 이념을 세웠고 고려를 위해 죽은 정몽주와는 정반대의 삶을 살았던 셈이다. 정몽주와 이정의 문학세계를 봄, 가을, 이상향, '단심'과 '무심' 등으로 나누어 다루었다. 첫째, 봄에 대해 이정이 아쉬움을 노래하였다면 정몽주는 언제나 나라를 먼저 생각하는 마음을 읊었다. 둘째, 가을에 대해 이정이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세상에 대한 한탄을 읊었다면 정몽주는 사신으로서의 긍지와 도덕적 세상을 만들려는 의지를 읊었다. 셋째, 이상향에 대해 이정에게는 이상향 강남이 술과 그림을 통해 현실을 탈피하여 찾아가고픈 공간이라면 정몽주에게 강남은 실제공간으로 중국의 수도이며 천자가 사는 곳이었다. 넷째, '무심'이 역량은 있어도 펼칠 수 없는 처지에 있던 이정이 선택해야만 했던 마음이었다면 정몽주에게 '단심'은 국내외적으로 국가를 대표해서 모든 역량을 적극적으로 펼쳐야 하는 마음이었다. 본고에서는 '단심'과 '무심'이 정몽주와 이정이 각각 자신들이 처한 시대와 신분에 맞는 최상의 심상이었음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compared the literary works of Jeong mong-ju and Lee jeong what are famous as and of the progenitors. With this,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world of 'Mu-sim' of Lee jeong who is relatively not famous well and recall the meaning of . This paper reviewed life of Lee jeong with 'Jol-ki (the record of his death). As Lee jeong was a brother of King Seong-jong in Joseon Dynasty, he was intelligent and had literary capability and was of high standing. However, he gave up all government post and companionship and had to live for being content with the life as a vassal that took care of his younger brother, King Seong-jong. During the King Seong-jong' time of quiet, Lee jeong lived his life as the best prince. He always was busy himself for going to China and Japan and coming back as a representative of a nation and established the Korean ideology to accept Neo-Confucianism, so he lived the exact opposite of Jeong mong-ju who died for Goryeo Dynasty. This paper examined to divide the literary world of Jeong mong-ju and Lee jeong into spring, autumn, utopia, 'Dan-sim' and 'Mu-sim'. Firstly, Lee jeong song a sense of frustration for spring, on the other hand, Jeong mong-ju wrote first his devotion for the nation always. Secondly, Lee jeong recited his own misfortune in the world where nobody understood him well for autumn, otherwise, Jeong mong-ju recited his will that tried to make the ethical world with the pride of an envoy. Thirdly, utopia was a gangnam where Lee jeong wanted to go out of the reality through alcoholic drink and painting, on the other hand, for Jeong mong-ju a gangnam was the capital city of China where an emperor lived as a real space. Fourthly, 'Mu-sim' was Lee jeong's heart which he had to select who couldn't open his capability even if he had, otherwise, for Jeong mong-ju, 'Dan-sim' was his devotion that had to open actively all his competences in outside and inside a nation as a representative of a nation. This article found that 'Dan-sim' and 'Mu-sim' were the best image in which Jeong mong ju and Lee jeong, respectively, faced the age and the status.

목차

【국문초록】
1. 문제 제기
2. 이정의 졸기(卒記) 분석
3. 이정과 정몽주의 시 비교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장리(An Jang-li). (2013).정몽주(鄭夢周)의 '단심(丹心)'과 이정(李婷)의 '무심(無心)' 비교. 포은학연구, 11 , 79-109

MLA

안장리(An Jang-li). "정몽주(鄭夢周)의 '단심(丹心)'과 이정(李婷)의 '무심(無心)' 비교." 포은학연구, 11.(2013): 79-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